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이근우시장 / 李根友諡狀 [정치·법제]

    조선 말기의 문신 이근우(李根友)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10년(융희 4)에 민영휘(閔泳徽)가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규장각지후관 민영휘가 지었으며 1910년 8월에 이근우에게 '효정(孝貞)'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이근택임중추원의장고명 / 李根澤任中樞院議長誥命 [정치·법제]

    1906년(광무 10) 11월 17일. 고종이 이근택(李根澤)을 중추원 의장으로 임명하는 고신. 군부대신이었던 이근택을 중추원 의장으로 임명하였으며, 중추원부의장 이근상(李根湘)을 궁내부 특진관으로 임명하여 칙임관 1등을 하였다.1910년 경술국치에 협조하여 일본으로

  • 이담속찬 / 耳談續纂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명나라의『이담』에 우리나라의 속담을 증보하여 1820년에 저술한 속담집. 1권 1책. 목판본. 목판본. 명나라의 왕동궤(王同軌)가 엮은 『이담(耳談)』에 우리 나라 고유의 속담을 증보하였다. 표지 서명은 ‘야언(埜言)’이다. 1936년신조선사(

  • 이동순 순흥현감 해유문서 / 李同淳 順興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32년(순조 32) 1월 29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올린 첩정이다. 이동순(李同淳)은 퇴계의 후손으로 구천(龜天)의 아들이다. 1830년(순조 30) 7월 초3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월 11일에 사조(辭朝)한 후 동월 25일에 도임하였다. 실적 437일

  • 이두편람 / 吏讀便覽 [언어/언어/문자]

    편자 및 간행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이두 및 이문(吏文) 어휘를 모아놓은 책. 1829년(순조 29)이거나 그 이듬해에 관각문신(館閣文臣)에 의하여 운각(芸閣)에서 활판인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두표기법에 통일성을 기하라는 왕명에 의하여 이두어휘 300여와 『이문집

  • 이력서 / 履歷書 [정치·법제]

    1908년(융희 9) 3월 주전원에서 관장하는 양화실 원역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 청색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다. 제목은 이력서라고 기록되었으나 이력서라기보다는 현황을 정리한 명단 정도로 이해된다. 문서에 따르면 양화실 소속 원역으로는 간사 2인, 감관 4인, 고지기 4인

  • 이로파 / 伊路波 [언어/언어/문자]

    1492년(성종 23) 사역원(司譯院)에서 일본어학습을 위하여 간행한 왜학서(倭學書). 1책. 활자본. 모두 22장의 책인데, 장차(張次)는 처음 4장과 나중 18장이 따로 있다. 처음 4장에는 「이로파 사체 자모 각사십칠자(伊路波四體字母各四十七字)」라 하여 일본문자

  • 이명직임명문서 / 李明稙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4월 28일. 종2품 가선대부 이명직을 궁내부특진관, 칙임관 3등으로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이재극(李載克)이 봉칙하였다. 궁내부특진관은 조선 말기 궁내부의 관리로 1895년(고종 32) 5월에 신설, 칙임관으로 보하였다. 이 문서에는 19

  • 이목구심서 / 耳目口心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가 여러 서적에서 초출한 것을 비롯하여 시화·기물·천지자연·인물 등을 모아 엮은 잡록. 6권 2책. 필사본.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48∼53에 걸쳐 2책으로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목구심서」는 제목에 나타난 바대로 귀로 들

  • 이무실천자문 / 李茂實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735년에 이무실(李茂實)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간행한 천자문. 표제는 ‘천자문언석(千字文諺釋)’이다. 지질은 두터운 고정지로, 간혹 굵게 섞인 지푸라기가 보인다.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아 찢기거나 닳은 곳이 전혀 없다. 나뭇결이 튼 부분이 많이 보이며, 마멸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