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정상진 / 鄭象晋 [종교·철학/유학]
1770년(영조 46)∼1847년(헌종 13). 조선 후기 유학자. 우복 정경세 7세손, 증조는 정주원, 조부는 정인모, 생조부는 정지모이다. 부친은 정종로이다. 외조부는 이민헌이다. 부친의 유고인 《소대명신언행록》과《입재집》을 정리하여 보존토록 하였다. 성리학의 기
정석구 / 鄭錫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6∼1755). 1723년(경종 3) 생원이 되었으며, 1727년(영조 3) 어머니의 상을 당한 뒤 실의에 빠져 있다가 음보로 의금부도사가 되고 그뒤 동몽교관·호조정랑을 역임하였다. 말년에 금천군수로 있으면서 선정을 베풀었다.
정석년 / 鄭錫年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30년(영조 6). 조선 후기 사인·효자. 정광필 후손, 증조는 정만화, 조부는 정재해이다. 부친 정시선과 모친 김자남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세태의 딸이다. 병든 몸으로 모친을 정성껏 모시다가 병이 더 심해져 54세의 나이로 생을
정석달 / 鄭碩達 [종교·철학/유학]
1660년(현종 1)∼1720년(숙종 46).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정의번, 부친 정시심과 모친 송시철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권숙의 딸이다. 정시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유장·이형상·정시한·이현일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며, 학문적 성장을 이루었다. 슬
정석림 / 鄭碩臨 [종교·철학/유학]
1669년(현종 10)∼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유학자. .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정석현·정석함·정석겸·정석승이 있고, 서제 정석철이 있다. 권해를 찾아가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만양·조선장·정규양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문집은 3
정석복 / 鄭碩馥 [종교·철학/유학]
1631-1685. 조선후기 유학자. 부친은 운길, 모친은 김발의 딸이다. 정시걸, 김주에게 수학하였다. 1667년 구언에 응해 상소하여 윤선도의 석방을 청하였다. 1685년 8월 6일 상주에서 졸하였다. 정석량의 여와 혼인하여 1남 3녀를 두었다. 정석복의 아들 세인
정석오 / 鄭錫五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 증손, 할아버지는 정재대, 아버지는 정혁선,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정효선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 검열, 수찬, 교리, 지평, 좌의정, 영돈
정석현 / 鄭碩玄 [종교·철학/유학]
1656년(효종 7)∼1730년(영조 6).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정석함·정석겸·정석승·정석림이 있다. 숙부인 무재 정시찬으로부터 가학을 배웠으며, 병와 이형상·매호 손덕승과는 학문적으로 교유하였다. 저술로는《회화록》,《
정석호 / 鄭錫祜 [종교·철학/유학]
1840년(헌종 6)∼1906년(광무 10). 조선 말기 유학자. 부친은 정우재이다. 7세부터 조부에게 가학을 배웠는데, 향시에는 합격하였으나 세상의 어지러움을 보고 벼슬에 뜻을 잃은 채 위기지학을 실천하였다. 서연옥‧이중구가 서문을 쓰고, 정병한이 발문을 쓴 6권 2
정선 / 鄭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676∼1759). 아버지는 시익, 어머니는 밀양 박씨이다. 2남 1녀 중 맏아들이다. 김창집의 도움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가선대부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자신의 화법을 만들어 실경산수화의 흐름을 19세기 초까지 이어가게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