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총 6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이동녕 / 李東寧 [역사/근대사]
1869년(고종 6)∼1940년.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대통령대리‧주석‧국무위원장‧국무위원. 자는 봉소(鳳所), 호는 석오(石吾)‧암산(巖山), 본관은 연안(延安), 충청남도 천원(지금의 천안) 출신이다. 1892년 응제진사시(應製進士試)에
이명선 / 李明善 [역사/근대사]
1893-1932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황해도 장연군(龍淵郡) 용연면(龍淵面)이다. 신민회(新民會)에서 만주독립기지건설을 추진하기 위한 계획을 세울 때, 황해도 책임자였던 김구(金九) 선생으로부터 합류할 것을 지시 받고 1910년(융희 4) 친형 이명서
이범석 / 李範奭 [역사/근대사]
1900-1972년. 독립운동가·군인·정치가. 아버지는 문하, 어머니는 연안이씨이다. 8세 때 김해김씨를 새어머니로 맞이하였다. 1915년 여운형과 함께 중국으로 건너가 1916년 항저우체육학교, 원난강무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19년 신흥무관학교 교관, 북로
이범윤 / 李範允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관리·독립운동가(1863-?). 간도시찰원과 간도관리사 때 사포대 조직과 군사훈련 실시로 청국의 조세징수 등을 거부하며 한인보호에 힘썼다. 경술국치 후 일으킨 의병으로 청산리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웠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이병곤 / 李炳坤 [역사/근대사]
1921년∼1979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명 뇌명(雷明), 평안북도 용천 출신이다. 1938년 항일투쟁을 벌이던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중국에서 광복군으로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1977년 건국포장을
이병묵 / 李丙默 [역사/근대사]
1900-1931년. 독립운동가. 본관은 전주(全州). 일명 병묵(炳默)·경도(景璹). 서울 출생. 북로군정서 참모장 윤세용(尹世茸)의 사위이다. 서울 중앙학교(中央學校)에 다닐 때 이미 만주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던 친형 병욱(丙旭)과 연락하며 국내 항일운동상황
이병훈 / 李秉勳 [교육/교육]
1913-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교육자·의사(醫師). 본적은 평안남도 평원군(平原郡) 순안면(順安面)이고, 출신지는 중국 남경(南京)이다. 1932년 4월 서울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를 중퇴하고,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의 인성
이상재 / 李商在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정치가·민권운동가·청년운동가(1850-1927). 서재필과 독립협회를 조직, 부회장으로 만민공동회를 개최했다. 개혁당 사건으로 복역했고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밀사파견을 준비했다. 소년연합척후대 초대 총재, 조선일보사 사장 등을 지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
이시영 / 李始榮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69∼1953). 1891년 문과에 급제해 우승지·궁내부 수석참·한성재판소장·고등법원 판사 등을 역임했다. 1910년 일제에 국권을 뺏기자 만주로 망명 유하현에서 신흥감습소를 설립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상해 임시정부의 법무총장을 역임했
이영범 / 李榮範 [역사/근대사]
1909-1961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나주군(羅州郡) 공산면(公山面)이다. 1926년 6월 광주고등보통학교(光州高等普通學校)에 재학하면서 비밀리에 광주독서회를 조직하였으며, 그해 11월 3일에 일어났던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에도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