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유물 > 유물(일반) 총 3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유물 > 유물(일반)
천보총 / 千步銃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후기에 발명된 총. 조총보다 성능이 뛰어난 총으로 1725년(영조 1)부터 개발하여 1737년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박영준이 개발한 총으로 사정거리는 1,000보였다. 수성용으로 서북방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1871년에 조사한 어영청의 화기 중에도 1병이 있
철검 / 鐵劍 [역사/선사시대사]
초기철기시대 이후에 사용된 공격용 철제 무기. 베는 도구로 장검(長劍)과 단검(短劍)으로 나뉘는데, 길이 50㎝ 이상이면서 경부길이가 10㎝ 내외로 긴 것을 장검, 50㎝ 미만에 경부가 3∼6㎝인 것을 단검으로 분류한다. 철검의 몸체는 단면 능형 혹은 렌즈형이며 경부에
철모 / 鐵矛 [역사/선사시대사]
철기시대 이후로 사용되었던 철제 무기. 청동기시대의 동모(銅矛)를 모방해 만든 철제의 창으로, 양인식의 신부(身部)와 자루를 끼우는 공부(銎部)로 나뉜다. 철모는 무기로서 만들기 쉬우며 또 손에 쥐고 찌른다든가 던진다든가 하여 적을 죽이는데 용이하였으므로 후세에 이르기
철부 / 鐵斧 [역사/선사시대사]
철기시대 이후로 사용되었던 철제 공구이자 무기. 리 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철부(鐵斧)는 중국의 전국시대와 관련된 주조품(鑄造品)의 도끼이다. 청동기시대 후기 유적에서는 청동유물과 함께 이러한 중국제 도끼가 출토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황해도 봉산군 송산리 유
철촉 / 鐵鏃 [역사/선사시대사]
원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공격용 철제 무기. 철기 사용의 초기단계인 초기철기시대에는 동촉(銅鏃)이 그대로 사용된 듯하다.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출현시기의 선후는 가릴 수가 없다. 춘천 중도(中島) 주거지 유적에서 출토된 철촉은 유경식의
청동방울 / 靑銅─ [역사/선사시대사]
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 청동기시대 말기∼초기철기시대에 제사장 혹은 군장이 종교의례에 사용하였던 무구(巫具)로서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간두령(竿頭鈴) 등이 있다.
청동향로 / 靑銅香爐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의 향로. 높이 87㎝. 보물 제1414호. 호암미술관 소장.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봉업사지(奉業寺址)에서 출토되었다. 뚜껑 위에 점각(點刻)으로 새긴 명문(銘文)에서 ‘奉業寺三重大師元0x9578(봉업사삼중대사원균)’이라 밝히고 있어서 그 소속 사찰을 분명히 하
추사 김정희 서신 / 秋史金正喜書信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가 동생 김명희·김상희와 민태호 등 주변 인물에게 보낸 편지 모음. 추사 연구의 개척자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鄰, 1879~1948]가 수집하고 연구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관련 자료 중 일부를 2006년 그의 아들 후지츠
칠지도 / 七支刀 [역사/선사시대사]
일본 나라현[奈良縣] 덴리시[天理市]의 이소노카미신궁[石上神宮]에 소장된 백제 시대의 철제 가지모양의 칼. 철을 두드려서 만들었다. 전체 길이는 74.9㎝이다. 그 중 손잡이 내지 연결부를 뺀 칼날 부분이 66.5㎝이다. 칼의 양쪽 날 부분에 마치 소뿔이나 나뭇가지처럼
칼자루끝장식 / 칼자루끝裝飾 [역사/선사시대사]
우리나라와 만주에서 발견되는 만주형동검[琵琶形銅劍·遼寧式銅劍]과 한국형동검[細形銅劍]의 자루 끝에 장식을 붙이기 위하여 청동이나 돌로 만들어진 장식. 우리나라의 칼자루끝장식은 십자형의 조그마한 석제품과 동제품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는 베개모양[枕型], 그 베개모양 중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