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총 74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문하녹사 / 門下錄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7품 관직. 목종 때 이미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종7품으로 정하여졌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에 의하여 도첨의녹사(都僉議錄事)로 바뀌고, 품질은 정7품으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반원운동의 일환으로 문종 관제가
문하부 / 門下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최고정부기관인 중앙 관청. 중서문하성의 후신이다. 1275년(충렬왕 1)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합쳐져 첨의부로 일원화되었다가, 그 뒤 도첨의사사·도첨의부·중서문하성·도첨의부로 이름이 여러 번 바뀌었으며, 1369년(공민왕 18) 문하부가 되었다. 조선시대
문하사인 / 門下舍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설치된 문하부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었다. 문종 관제에서의 중서사인(中書舍人)의 후신이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에 의하여 중서사인이 도첨의사인(都僉議舍人)으로 바뀌었다가, 1356년(공민왕 5) 다시 중서사인으로 환원되었고, 1362년 내서
문하시랑평장사 / 門下侍郎平章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 문하시랑 또는 문하평장사로 약칭되기도 한다. 성종 때 처음 두어졌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정2품으로 정하여졌다. 같은 시랑평장사이지만 중서시랑평장사보다 상위직이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강요에 따라 관제가 격하 개편될
문하찬성사 / 門下贊成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에 설치된 문하부의 정2품 관직. 1275년(충렬왕 1) 관제개혁에서 평장사가 찬성사로 바뀌었다가, 1356년(공민왕 5) 다시 평장사로 환원되었다. 그 뒤 1360년 평장정사로, 1362년 찬성사로, 1369년 도첨의부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문하찬성사로 되
문하평리 / 門下評理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3인. 1275년(충렬왕 1) 참지정사가 첨의참리로 바뀌었다가 1308년 충선왕에 의해서 첨의평리로 변경, 정원도 종래의 2인에서 3인으로 증원되었다. 이것이 1330년(충숙왕 17) 다시 첨의참리로 고쳐지고, 1356년(공민
문하평장사 / 門下平章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요구에 의하여 고려의 관제가 격하될 때 중서평장사와 함께 첨의찬성사로 바뀌었으며, 1308년(충선왕 복위) 첨의시랑찬성사와 아울러 중호로 개칭되었다가 곧 첨의찬성사로 환원되었다. 135
민부 / 民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호구·공부·전량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육부의 하나인 상서호부를 판도사로 고치고 1298년 다시 민조로 고친 바 있었으나, 1308년 다시 민부로 고치면서 삼사·군기감·도염원을 여기에 병합시켰다. 관원으로는
민조 / 民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호구·공부·전량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육부의 하나인 상서호부를 판도사(版圖司)로 다시 1298년에 충선왕이 민조로 고쳤다. 관원으로 상서(尙書) 1인, 시랑·낭중·원외랑은 각기 3인. 시랑 중 1인은 타관
박충좌 / 朴忠佐 [종교·철학/유학]
1287(충렬왕 13)∼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빈, 아버지는 장이다.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백이정이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배우고 돌아왔을 때 이제현과 함께 제일 먼저 가르침을 받았다. 판전민도감사, 찬성사, 판삼사사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