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어산불영설화 / 魚山佛影說話 [문학/구비문학]

    1180년(명종 10)에 창건된 만어사(萬魚寺)의 옛터에 관한 설화. 『삼국유사』 권3 탑상편(塔像篇) 제4 어산불영조에 수록되어 있다. 이 설화는 불교가 전래되어 불경을 깊이 이해하고, 이 지방과 부합하는 점을 발견한 이후에 설화가 형성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 어수록 / 禦睡錄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장한종(張漢宗)이 편찬한 한문 소화집(笑話集). 『어수록』은 장한종이 화원(畫員)으로서 수원 감목관(監牧官)을 지낼 때 지은 것이다. 책머리에 있는 자서에 의하면, 이 책은 임신년(1812) 정월 편자의 재종숙이 내방했을 때 기록한 것이라 한다. 이 책에

  • 어우야담 / 於于野譚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유몽인이 편찬한 설화집. 5권 1책. 활판본. 권1은 인륜편, 효열·충의·덕의·은둔·혼인·처첩·기상·붕우·노비·배우·창기, 권2는 종교편, 선도·승려·서교·무격·몽·영혼·귀신·속기·풍수·천명, 권3은 학예편, 문예·식감·의식·교양·음악·사어·서화·의약·기

  • 어희요 / 語戱謠 [문학/구비문학]

    말장난으로 이루어진 민요. 어희요는 내용과 형식, 특히 형식면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구구가·한글풀이·달풀이·성희요(聲戱謠)·해학요·욕설요 등을 포함한 일군의 노래가 모두 어희요의 범주에 속한다. “달래 먹고 달려가자/쉬영 먹고 쉬여 가자/찔레 먹고 찔러

  • 여우구슬설화 [문학/구비문학]

    한 학동이 여인으로 변신한 여우와 입을 맞춤으로써 여의주를 빼앗았으나, 하늘을 안 보고 땅을 봄으로써 땅의 이치만을 알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에 속한다. ‘구미호’에 관한 설화는 함경도·평안도·황해도 지역에 특히 많이 전승되는 것으로 보고되

  • 연명설화 / 延命說話 [문학/구비문학]

    단명할 운(運)을 타고난 인물이 이인(異人)의 예언을 듣고 수명을 연장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 설화는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에 따라 세 가지의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 첫째, 북두칠성에게 빌어서 수명을 늘인다는 것으로 「북두칠성과 단명 소년」이 있으며, 둘째, 저승사자를

  • 연모요 / 戀母謠 [문학/구비문학]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내용의 민요. 죽은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노래와 시집가서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노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려시가 중에 널리 알려진 「사모곡」은 대표적인 노래이다. “우리엄마 나를낳아/애명글명 기를적에/일천뼈꼴 다녹았고/오만간장 다썩었네//오즘똥을 주

  • 연오랑세오녀설화 / 延烏郎細烏女說話 [문학/구비문학]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는데,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 본래 『수이전(殊異傳)』에 전하던 것인데, 고려 때 『삼국유사』에 채록되었다. 이 설화는 단순한 연오·세오 부부의 이동설화가 아

  • 연자매노래 / 硏子─ [문학/구비문학]

    연자매로 곡식을 찧거나 빻거나 쓿을 때 부르는 제주도민요. 여러 사람의 힘으로 굴리거나, 마소를 몰며 연자매를 찧을 때 각기 다른 가락으로 불린다. 연자매는 전국에 흩어져 있었지만, 특히 제주도에 밀집되어 있다. 드물지만 이 노래 역시 제주도에서만 확인된다. ‘?방에’

  • 열녀설화 / 烈女說話 [문학/구비문학]

    여자가 남편을 위하여 정절을 지킨 것을 내용으로 한 설화. 구전되는 열녀설화는 뚜렷한 구심점이 없고 유형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남편의 병을 고치기 위하여 비상을 먹었다든지 하는 것은 문헌에 오른 간단한 예와 상통하면서 앞뒤에 자세한 설명이 붙어 있다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