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용연폭포 / 龍淵瀑布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지금의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폭포. 높이 84m, 너비 3m. 이 폭포는 묘향산의 법왕봉(法王峰, 1,391m)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여 직경 3m, 깊이 1.5m 되는 용소를 만들고 여기에 차 있던 물이 넘쳐 떨어지면서 폭포를 이룬다. 폭포

  • 용운리백로왜가리번식지 / 용운리백로왜가리번식지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개천시 용운리에 있는 백로·왜가리 번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44호. 천동역에서 구읍리 방향으로 약 6㎞ 지점에 용운리가 있고,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약 4㎞ 지점에 백로왜가리번식지가 있으며, 번식지의 주변은 기암절벽의 묘향산 줄기가 남서로 뻗어 있다. 용운리

  • 용원동굴 / 龍原洞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개천군 중남면(지금의 개천시 용원노동자구)에 있는 석회암동굴. 길이는 400m이다. 이 동굴은 1965년에 발견되었는데, 철석봉 중턱에 있는 석회암동굴로서 굴안에는 석순·돌꽃 등 종유석이 있는데, 특히 산석결정들이 발달되어 있다. 자연력의 신비성을 보여주는 이

  • 용유도 / 龍遊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동에 속하는 섬. 인천에서 서쪽으로 24㎞에 있다. 동경 126°∼51′, 북위 37°∼27′에 위치한다. 동쪽에 오성산(五星山, 172m)이 있다. 조차가 커서 연안에 간석지가 크게 나타나며, 썰물 때는 주변의 여러섬들과 연륙이 되었으나 인천국제공

  • 용작 / 傭作 [사회/촌락]

    품팔이를 고용하여 농사 짓는 것을 통칭하는 말. 우리 나라의 농업 생산양식은 소농적 생산양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 노동력 동원 형태도 집약적인 가족노동형태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다소간 토지가 많은 부농이나 일손이 모자라는 농가에서는 수도재배가 가지는 집약적 노

  • 용정굴 / 龍井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로리에 있는 석회동굴. 용정산의 능선에 있으며 해발 250m 지점의 북향사면에 있다. 총연장은 130m이고, 주동굴의 연장은 87m이다. 용정굴은 구조지층적면에서 사암 및 응회암동굴이며, 지형적 측면에서는 수직동굴이다. 동굴 속에는 종유관·종유석

  • 용지 / 龍池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 1138-8에 있는 연못. 강원도 기념물 제3호. 면적 710.9㎡, 못의 면적 210㎡이다. 1971년 12월 16일에 지정되었다. 현재는 625㎡가 포함되며, 기획재정부의 소유로 되어 있다. 건물의 비각은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비각의 정면

  • 용천군 / 龍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서단에 위치한 군. 동남쪽은 철산군, 동북쪽은 신의주시·의주군, 서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의 요령성 안동현(安東縣)과 마주보며, 서남쪽은 황해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4°11′∼124°41′, 북위 39°49′∼40°04′에 위치하며, 면적 570㎢

  • 용천온천 / 龍川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청진시 부윤구역 어유리에 있는 온천. 청진시의 부윤구역에는 나북천(羅北川)이 남동쪽으로 흘러 동해로 들어간다. 온천은 이 하천을 끼고 있는 어유리에 위치해 있다. 나남역에서 북서쪽으로 약 12㎞ 떨어진 곳이다. 온천의 이름은 지금은 없어진 용천동(龍川洞)에서

  • 용천평야 / 龍川平野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북서부의 압록강 하구에 펼쳐진 평야. 이 일대는 압록강과 삼교천(三橋川)에 의하여 이루어진 복합삼각주 지대로, 용천군ㆍ신의주시ㆍ의주군에 걸쳐 있는 평탄하고 비옥한 평야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평야 일대는 도내 유수의 곡창을 이루어 쌀을 비롯한 보리ㆍ밀ㆍ수수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