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국도13호선 / 國道13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완도∼금산선이라고도 한다. 완도군 완도읍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남서부 지역(해남, 영암, 나주)을 지나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을 거친 다음, 전라북도 동부 산간 지역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국도14호선 / 國道14號線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에서 경상북도 포항시에 이르는 일반 국도. 전국 24개 동서노선 가운데 하나로 거제∼포항선이라고도 한다. 총 연장 318.2㎞로 포장도로 구간 91.6%와 미개통도로 24.7㎞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포장도로 구간 중 2차로는 88.7㎞, 4차로는
국도15호선 / 國道15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에서 담양군 담양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고흥∼담양선이라고도 한다.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한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을 기점으로 보성, 순천, 화순, 곡성을 거쳐 담양군 담양읍까지 남북방향으로 뻗어있는 도로이다. 1974∼1975년 광주∼석거리재, 석거
국도17호선 / 國道17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에서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에 이르는 일반 국도. 1976∼1978년 곡성∼남원 구간을 시작으로 1993∼1997년 추부∼금산 구간이, 2002년 청주∼오창 구간(10.0㎞)이 완공되었다. 충청남도 금산에 1986년 완공한 추부터널, 전라북도 남원에
국도18호선 / 國道18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에서 구례군 마산면에 이르는 일반 국도. 1976∼1978년 구례∼곡성 구간을 시작으로 1996년 이후 진도 우회도로가 건설중이다. 총 연장은 231㎞로 포장도로 100%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구간 중 2차로는 228.1㎞, 4차로는 2.9㎞를
국도19호선 / 國道19號線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에서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에 이르는 일반 국도. 남해∼홍천선이라고도 한다. 경상남도 남해군 해안(미조면)을 기점으로 섬진강 연안 지역(하동, 구례)을 거쳐 소백산맥의 서쪽 사면을 따라 한반도의 중앙 내륙 지역(남원, 장수, 무주, 영동, 옥천, 보
국도1호선 / 國道1號線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평안북도 신의주시에 이르는 일반 국도. 목포∼신의주선이라고도 한다. 목포시를 기점으로 호남 지역의 인구와 산업이 밀집된 서부 평야지대(무안, 함평, 나주, 광주, 장성, 정읍, 김제, 전주, 완주, 익산), 충청남도 중심부(논산, 공주, 연기, 천안
국도20호선 / 國道20號線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에서 경상북도 포항시에 이르는 일반 국도. 산청∼포항선이라고도 한다. 경상남도 산청군 지리산국립공원(중산리) 인근을 기점으로 경상남도 중부 산간지역(의령, 창녕)을 거쳐 경상북도 청도, 경주시를 지나 포항시까지 동서 방향으로 뻗어있는 도로이다. 총
국도21호선 / 國道21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에서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남원∼이천선이라고도 한다. 남원시를 기점으로 전라북도 남서부(순창, 정읍, 김제)와 북부지역(완주, 전주, 익산, 군산)을 거쳐 충청남도 남부 해안(서천, 보령) 및 서북부 지역(홍성, 예산, 아산
국도22호선 / 國道22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에 이르는 일반 국도. 정읍∼순천선이라고도 한다. 전라북도 정읍시를 기점으로 고창군, 전라남도 영광군 및 함평군을 반시계 방향으로 거친 다음 광주광역시와 화순군 중심부를 관통하여 전라남도 순천시까지 뻗어있는 도로이다. 총 연장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