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국담문집 / 菊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장경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3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3년 손자인 기덕(基德)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일섭(權一燮)의 서문과 권말에 기덕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의 이덕홍(李德弘) 종가에 있다.권1에 시, 만사

  • 국담문집 / 菊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하진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대 초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저자의 손자인 치룡(致龍)에 의해 편집되었던 것을 1900년대 초 현손 황원(滉源)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내석(鄭來錫)·유주목(柳疇睦)·이만각(李晩慤) 및 저자의 생질

  • 국담문집 / 菊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주재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08년 저자의 6대손 시협(時悏)과 시민(時敏)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과 권말에 시협의 발문이 있다.권1에 시 27수, 서(書) 3편, 서(序) 1편,

  • 국담문집 / 菊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박수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5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본집 3권 1책, 별집 1권 1책, 합 4권 2책. 목판본. 후손 이주(履周)에 의해 편집, 간행된 것으로, 간행연도는 본집 서문의 글로 미루어 1725년(영조 1)경으로 추정된다. 권두에 정종로

  • 국담실기 / 菊潭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양재로의 유고와 국담정사낙성운 등을 수록하여 1936년에 간행한 실기. 2권 1책. 석인본. 1936년 그의 아들인 재석(在錫)이 편집, 간행하였는데, 권두에 유도승(柳道昇)의 서문과 권말에 재석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은 시 3수, 부

  • 국당배어 / 菊堂俳語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 정태제(鄭泰齊)의 잡록. 1책. 필사본. 편자·연대 미상. 서·발문이 없다. 『국당배어』는 정태제가 직접 견문한 것을 기록한 책이다. 내용은 시국에 대한 평과 인물들의 일화, 시화, 신변잡기 등이다. 내용과 체재는 일반 필기류처럼 일관성이 없다. 각

  • 국당유고 / 菊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전기의 학자 박흥생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828년(순조 28)에 간행하였다. 그로부터 60년 뒤인 1888(고종 25)∼1894년에 걸쳐 14대손 중호 등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서거정·기정진의 서문, 권말에 손상호·손정흠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 국대부인 / 國大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외명부의 정3품 작호. 고려시대 종친의 딸이나 처, 그리고 문무관의 처로서 남편 직품에 따라 봉작하였는데 그 중 국대부인은 정3품에 해당되었다.

  • 국도 / 國島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통천군 흡곡면(지금의 강원도 통천군 자산리) 바다에 있는 섬. 국도(國島)의 넓이는 0.1㎞이고, 둘레는 1.3㎞이다. 소동정(小洞庭)이 보이는 곳에 있으며, 참대가 잘 자란다고하여 죽도(竹島)라 불렀다. 그러나 일제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이 섬에서 자란 대나무

  • 국도 / 國道 [지리/인문지리]

    주요 도시·지정항만·비행장·국가산업단지 등을 연결하며 국가기간도로망을 형성하는 도로. 고속국도와 함께 전국의 간선 도로망을 형성한다. 법령상 명칭은 일반국도인데, 「대통령령」으로 노선을 지정한다. 2009년 일반국도의 길이는 1만 3,820㎞로 우리나라 도로 길이의 1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