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정구 / 鄭矩 [종교·철학/유학]

    1350(충정왕 2)∼1418(태종18).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양생이다. 1377년(우왕 3) 문과에 을과 2등으로 급제, 전교시부령, 의정부찬성, 호조판서, 개성부유후 등을 역임하였다. 경기도 양주에 있는 건원릉신도비의 제액을 썼다.

  • 정구 / 鄭逑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윤증의 종손, 할아버지는 응상, 아버지는 사중, 어머니는 이환의 딸이다. 1563년에 이황, 1566년에 조식을 찾아 뵙고 스승으로 삼았다. 1563년 향시에 합격했으나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

  • 정국성 / 鄭國成 [종교·철학/유학]

    1526(중종 2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극공의 증손, 할아버지는 변, 아버지는 계함, 어머니는 황근의 딸이다. 1558년(명종 13) 사마시에 합격,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에 제수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상주에서 창의하고 일어섰으

  • 정규양 / 鄭葵陽 [종교·철학/유학]

    1667(현종 8)∼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주, 어머니는 김방렬의 딸이다. 종조부 시연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형 만양과 함께 수학하였다. 경사는 물론 성리학·예학·천문·지리·역학·정치·경제·율려·과제 등에 두루 정통하였다. 형제간의 우애를 기

  • 정규창 / 丁奎昌 [종교·철학/유학]

    1872(고종 9)-1949. 아버지는 정춘섭, 어머니는 평해신씨이다. 젊어서부터 늙을 때까지 오직 학문을 익히고 몸을 수양하는 것을 평생의 업으로 삼았다. 용산 이만인에게 학문의 요체를 배웠으며, 간혹 과거공부를 하였지만 좋게 여기지 않았고, 한 번 서울에 시험을 치

  • 정극인 / 丁克仁 [종교·철학/유학]

    1401(태종 1)∼1481(성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곤이다. 그러나『국조방목』에는 인의 아들로 되어 있다. 사간원헌납,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불우헌집』2권 1책이 전한다. 예조판서 겸 지춘추관성균관사에 추증됐으며 태인의 무성서원

  • 정극후 / 鄭克後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습명의 후손, 아버지는 삼외이다. 일찍이 장현광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는데, 장현광은 그의 비범함에 감탄, 붕우의 예로 대하였다. 또, 그는 정구의 문인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문묘사향지>, <역년통고>, <서

  • 정기상 / 鄭璣相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정온의 봉사손, 증조는 정팔복, 조부는 정식이다. 부친은 정종필, 생부는 정기필이다. 외조부는 황희임, 생외조부는 이여민이다. 동생은 정현상‧정형상‧정규상이다. 1874년(고종 11) 증광시 문과에 병과 30위로 급제하였

  • 정기선 / 鄭基善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4∼1839). 1815년 한림소시에 선발된 뒤 함경도암행어사로 발탁되어 문란한 지방행정을 바로잡았다. 1829년 경상도관찰사로, 왜인들을 방어하는 대책을 수립하고 기민들을 구제하였다. 1833년에 예조판서에 올랐고, 이듬해는 대사헌이 되었다.

  • 정기세 / 鄭基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4). 원용 아들, 범조의 아버지이다. 1862년 임술민란 때 판의금부사와 형조판서로서 이정청당상이 되었다. 고종 즉위 후 병조판서·한성부좌윤·철종실록찬집당상·제학·우찬성을 역임하였고, <대전회통> 편찬에 참여하였다.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