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도산육곡 / 陶山六曲 [문학/고전시가]
李滉(1501∼1570)이 지은 연시조 ‘陶山六曲’의 친필 목판 인쇄본. 퇴계 이황이 지은 12수의 연시조(聯詩調)를 「도산십이곡」이라 하는데, 이황은 이별(李鼈)의 육가(六歌)를 모방하여, 「육곡」 하나에서는 ‘지(志)’를 말하고, 또 하나에서는 ‘학(學)’을 말하였
도산족계좌목 / 道山族稧座目 [사회/가족]
조선후기 대전에 세거한 충주박씨의 족보.충주박씨족계. 17세기에 작성된 대전 세거 충주박씨가의 족계문서(族契文書)로, 2012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충주박씨 대전 입향조 박광리(朴光理)의 첫째 아들 박진(朴蓁, 1366~1422)의 7·8·9·
도생서원 / 道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었던 서원. 1567년(명종 22) 지방유림의 공의로 배삼익(裵三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
도선 / 導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학의 정4품 관직. 종친의 교육에 관한 임무를 담당하였다. 1430년(세종 12) 종학이 설치되자 관부 신설에 따른 교관이 필요하였는데 이들을 종학관이라 하였다.그러나 이들 종학관은 독립된 전임관이 되지 못하고 성균관에 따로 사성·직강·주부를 1인씩 더 설
도성 / 都城 [예술·체육/건축]
왕이 평상시 거주하는 궁전과 관부 및 취락을 둘러싼 성. 도성은 왕이 사는 궁과 종묘, 각종의 관부가 중심이 되고 주변에 신분제사회의 계층에 따른 주거가 있었던 것이 보통이다. 조선왕조의 도성도 근본적으로 왕궁이 북편에서 남향하며, 얼마간의 직선대로가 十자형을 이루기는
도성대지도 / 都城大地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한성부의 도성 안과 숭례문·돈의문 밖을 상세하게 그린 지도. 현존하는 조선시대 서울지도 중 가장 큰 지도다. 서울의 영역 중 기능과 인구가 밀집된 도성 안과 숭례문·돈의문 밖을 자세하게 그렸으며, 그 밖의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략하게 묘사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에
도성도 / 都城圖 [지리/인문지리]
1788년경 한양 도성 일대를 산수화풍으로 그린 지도. 고지도. 단독으로 그려진 채색필사본으로 크기는 세로 67㎝, 가로 92㎝이다. 「도성도」는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군사·경제상의 인문현상뿐만 아니라 풍수지리를 바탕으로 조성된 도성의 지형적 아름다움을 한 눈에 보여준
도성축조도감 / 都城築造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건국 직후 도성을 쌓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임시관청. 1395년(태조 4) 9월 경복궁과 종묘·사직의 공사가 마무리되자, 도성축조령과 함께 도성축조도감이 설치되었다. 관원으로 판사·부판사·사·부사·판관·녹사 등이 있었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 정도전이 성터를 정하
도숙법 / 到宿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리들의 천전·승진의 인사기준이 되는 근무일수 산출 법제. 1년단위 차년법, 달을 기준으로 하는 개월법, 날짜를 기준으로 하는 도숙법 등이 있었다. 고려시대는 주로 차년법이 시행되었고, 공민왕 때 처음으로 도숙법이 같이 사용, 공양왕 때 개월법이 첨가되었다.
도순변사 / 都巡邊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어 그 구체적인 직무를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