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하의철 / 河誼喆 [교육/교육]
1907-미상. 일제강점기 교사·독립운동가. 전라남도 영암군(靈巖郡) 미암면(美岩面)에서 출생하였다. 광주사범학교 재학시절에 학생비밀결사(學生秘密結社)인 성진회에 가입하였고, 민족차별 교육을 일삼았던 일본인 교사를 타학교로 전근시키는 등의 활약을 하였다. 이후 성진회
하정집 / 荷亭集 [문학/한문학]
개항기 문신 여규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신연활자본. 1923년 정인서(鄭寅書)가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다.『하정집』 권1·2는 만사(輓詞) 1수를 포함한 시 112수, 권3·4는 논(論) 2편, 설(說) 1편
하트 / Robert Hart [정치·법제/외교]
1835-1911. 영국인으로 청국 해관 총세무사. 1859년 양광총독 노숭광의 추천으로 월해관 부세무사로 임명되었다. 1861년 청국 해관 초대 총세무사 레이의 위탁으로 총세무사를 대리하였다. 1863년 레이가 오스본함대 사건으로 사직하자 정식으로 해관 총세무사로 임
학강만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홍석주가 견문한 명인들의 시문·언행들을 중심으로 서술한 만록집. 6권 5책. 필사본. 저자가 만년에 정계에서 은퇴한 뒤에 노년을 보내면서 지난 날의 견문(見聞)이나 독서에서 얻은 견해들을 잡록형식으로 적은 글이다.『학강산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학강산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홍석주가 견문한 명인들의 시문·언행들을 중심으로 서술한 만록집. 6권 5책. 필사본. 저자가 만년에 정계에서 은퇴한 뒤에 노년을 보내면서 지난 날의 견문(見聞)이나 독서에서 얻은 견해들을 잡록형식으로 적은 글이다.『학강산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학고문집 / 鶴皐文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규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978년 이규헌의 후손 이종담(李鍾淡)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은(李鍾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이종수(李鍾秀)의 발문이 있다. 제1편에 시율(詩律) 785수, 제2편에 기(
학무아문 / 學務衙門 [역사/근대사]
구한말 교육행정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학무아문은 구제도 아래서의 예조의 업무 일부와 관상감, 육영공원, 사역원의 업무를 포함하여 국내의 교육과 학무행정을 관리하는 부서로 설치되었는데, 1895년 4월 1일 별도의 학부관제를 칙령 제46호로 공포하고 학부(學部)로 개칭하
학병거부운동 / 學兵拒否運動 [역사/근대사]
1943년 일제에 의해 자행된 강제 징병에 저항한 학도지원병 거부 운동. 학도지원병제는 표면으로는 자의에 의한 지원이라 하였으나 총독부는 해당 학교에 대해 갖은 수법으로 독려하도록 강요하였다. 이에 조선인 학병 해당자들은 전쟁의 광기에 날뛰던 일제 당국에 대해 여러 형
학부인서체자 / 學部印書體字 [언론·출판/출판]
개항기 학부에서 사용한 인서체(印書體) 목활자. 학부에서 당시의 새로운 문물을 수용할 목적으로 교과서를 개편하고 1895년부터 찍어내는 데 사용한 활자이다. 학부가 교과서 인쇄에 사용한 이 활자를 학부인서체목활자 또는 학부목활자라 일컫고 있다.
학부직원록 / 學部職員錄 [정치·법제]
대한제국 때 학부 소속 직원 명단. 판상구에 '학부'라고 인쇄되었고, 주색 목판인찰공책지를 사용하여 필사하였다. 제1면 좌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날인되어 있다. 주로 일본인으로 학부에 근무하거나 관립사범학교, 고등학교, 일어학교, 보통학교 교사 명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