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구포유고 / 九包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봉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0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1960년 그의 7대손인 남철(南喆)과 8대손 종진(鍾珍)·종홍(鍾洪)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앞에 1726년(영조 2) 왕이 그에게 하사한 「군신제회도(君臣際會圖)」의
구포집 / 鷗浦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안헌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696년(숙종 22)에 외손인 최석정(崔錫鼎)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최석정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3에 시 365수, 권4는 관과록(館課錄)으로 표
구품관안 / 九品官案 [정치·법제]
육군 정위 오진영(吳璡泳)을 비롯해 각 관청의 9품직 관원 명단. 좌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날인되어 있다. 종이를 이어서 사용하였고, 교정한 흔적이 있다. 1904년경에 작성된 문서로 추정된다. 오진영이 육군 정위가 된 것이 1904년경이기 때문이다.
구한국외교문서 / 舊韓國外交文書 [역사/근대사]
1876년 2월에서 1906년 2월까지 외부(外部)와 서울주재 각국 외교대표부 사이에 오고간 문서.외교문서. 일안(日案)·청안(淸案)·미안(美案)·영안(英案)·덕안(德案)·법안(法案)·아안(俄案)·의안(義案)·비안(比案)·서안(瑞案)·해안(鮭案)·하안(荷案)·서안(西案
구해남화진경구결 / 句解南華眞經口訣 [언어/언어/문자]
『구해남화진경』의 대문(大文)에 한글로 구결을 단 책. 모두 10권이나, 현재 권4는 전하지 않는다. 권1·2와 권7∼10은 고려대학교 도서관 만송문고, 권3은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 권10은 국립중앙도서관, 권5∼7과 권9·10은 성암문고 등에 영본(零本)으로
구현령 / 狗峴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희천군 북면과 강계군 화경면 사이에 있는 고개. 이 고개의 높이는 815m이다. 이 고개는 낭림산맥의 와갈봉(臥碣峰)에서 적유산맥(狄踰山脈)의 중간 지역에 위치하며, 두첩산(頭疊山, 1,452m)과 그 서쪽의 무쌍봉(武雙峰, 1,241m) 사이의 안부(鞍部)에
구호서원 / 鷗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4동에 있던 서원.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정(權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12년에 권두문(權斗文)·김대현(金大賢)·김영조(金榮祖)·권창진(權昌震) 등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
구호서원 / 龜湖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에 있는 서원. 1730년(영조 6)에 지방유림이 박상충(朴尙衷)·이성중(李誠中)·박은(朴訔)·송유저(宋有著)·임사수(林士壽)·박소(朴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77년(정조 1)에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
구화패 / 救火牌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에 화재가 났을 때, 소화에 임할 수 있도록 특정관원에게 지급한 증명패. 화재시에 혼란을 피하고 도적을 방지하며 효과적인 소화를 하기 위하여, 모든 관사를 한성부 5부에 나누어서 소속시키고, 병조·형조·의금부·한성부·수성금화사의 특정관원에게 구화패를 지
구환탕감전교 / 舊還蕩減傳敎 [정치·법제]
1797년(정조 21) 8월 18일. 정조가 원침을 배알하러 오는길에 있는 10개 고을의 수령에게 해당 고을 백성의 구환 등을 감면, 탕감하고 제술과 활쏘기 시험을 거행하도록 지시한 전교. 문서 내용이《정조실록》에 실려 있다. 왕이 행차하면 백성이 피해를 입게 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