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하산집초 / 霞山集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조화옥의 시 「술회」·「타맥사」·「소악부」 등을 수록한 시집. 1책. 필사본. 저자의 작품 중 「소악부(小樂府)」 병서(幷序)에서 신위(申緯)를 거론하고 있어 그의 활동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은 권말에 창규(昌奎)가 임진년에 고오위장(高五衛將)의
하성광산 / 下聖鑛山 [경제·산업/산업]
황해도 재령군 하성면 대청리·아양리에 걸쳐 있는 철광산. 광석은 대체로 다공질(多孔質)이며, 광력(鑛礫)은 3∼6㎝ 내외의 것이 40% 가량을 이루고, 광석은 갈철광(褐鐵鑛)이나 적철광(赤鐵鑛)인 부분도 적지 않다. 1914년 8월 일본 미쓰비시회사(三菱會社)가 채굴권
하세가와 요시미치 / 長谷川好道 [정치·법제/외교]
1850-1924. 한국 주둔 일본군 사령관. 제2대 조선 총독. 1871년 육군 대위로 임관하였다. 1886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보병 제12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에 참전하였고, 1896년 중장으로 승진하였고 제2사단장이 되었다. 1904년 9월 5
하수집 / 荷叟集 [종교·철학/유학]
박기녕의 문집. 목활자본, 서:류도헌(1909), 6권3책. 권1~2에는 시 73 제 130수, 만사, 차운시의 비중도 높다. 권2에는 시 이외에 사ㆍ서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서 3편ㆍ기 2편ㆍ발 1편ㆍ식 5편,ㆍ잡저 3편ㆍ상량문 3편이 수록되었다. 권4에는 제문ㆍ유
하숙 / 下宿 [생활/주생활]
일정한 방세와 식비를 지불하고 남의 집에 머물면서 숙식하거나 그러한 집. 하숙의 등장은 1920년대 초부터라고 볼 수 있다. 일반 숙박업소로서의 하숙은 그 기능이나 성격·구조가 여인숙과 크게 다를 바 없고, 다만 비용이 적게 든다는 차이밖에 없다. 교통이 편리한 곳에
하시구치 나오에몬 / 橋口直右衛門 [정치·법제/외교]
?-?. 한성 주재 일본부영사. 인천 영사. 1884년 프랑스공사관으로 부임하였다. 1887년 한성 주재 일본부영사로 도임하였다. 1893년 6-11월 주청 일본공사관 서기관으로 근무하였다. 1895년 10월 8일 인천 주재 일본영사로 조선에 도착하였다. 1895년 1
하야시 곤스케 / 林權助 [정치·법제/외교]
1860-1939. 일본 외교관. 주한 일본공사. 1887년 외무성에 들어가 교제관 시보에 임명. 1887년 10월부터 지부 부영사, 1888년 11월부터 인천 영사, 1892년 3월부터 상해 주재 영사를 거쳐 1896년 9월 영국공사관 1등서기관, 1898년 1월 청
하야시 다다스 / 林董 [정치·법제/외교]
1850-1913. 일본 외교관. 외무대신. 1873년 귀국해 외무성 2등서기관으로서 공부성 공학료의 공학조를 겸무하였고, 공부류소승, 공부성권대서기관, 공부성대서기관을 역임하였다. 1886년 역체국장, 1887년 내신국장을 역임하였다. 1891년 6월 외무차관에 취임
하용기 / 河龍基 [역사/근대사]
1891-196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1919년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둔남면(屯南面) 오수리(獒樹里) 장날을 이용하여 이기송(李基松), 오병용(吳秉鎔) 등과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이날 오후 2시 오수리 장터에서 천도교(天道敎)와 기독교도가 중심이
하은유고 / 荷隱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정상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활자본. 이 책은 1936년 아들 종진(宗溱)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하은유고』 권두에 이손(李巽)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백인기(白仁基)와 종진의 발문 및 박회식(朴會植)의 후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