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구촌집 / 龜村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병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석인본. 1961년 그의 아들 용기(龍基)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순명(權純命)의 서문과 권말에 정형택(鄭逈澤)·조용기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6

  • 구촌집 / 龜村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유경심의 시·전·변·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2책. 목활자본. 외손 최몽량(崔夢亮)과 외증손 배상익(裵尙益)이 이정구(李廷龜)의 교감을 받아 편집하고, 최몽량의 아들 제(濟), 저자의 외손서(外孫壻) 이상일(李尙逸), 외증손 여경(呂儆)이 간행

  • 구촌집 / 龜村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이덕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석인본. 1849년(헌종 15)에 그의 9세손 병진(秉鎭)이 산일된 유고를 모아 편집, 간행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1936년에 후손 승규(昇圭)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임규직

  • 구축 / 口蹙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의 중성 ‘ㅗ’와 ‘ㅜ’의 음성적 특성으로 설명한 ‘원순성’을 가리키는 『훈민정음』 「제자해」의 용어. 15세기 국어의 ‘ㆍ’는 ‘ㅗ’, ‘ㅏ’와 함께 ‘설축’의 중성으로서 모음조화 현상의 양성모음 부류가 되고, ‘ㅡ’는 ‘ㅜ’, ‘ㅓ’와 함께 ‘설소축’의

  • 구탄집 / 九灘集 [종교·철학/유학]

    장위방의 문집. 석인본. 4권 2책. 권1에는 만사를 포함하여 모두 200여 수의 시가 전한다. 권2는 편지 3편과 1편의 기문, 2편의 뇌사, 16편의 제문, 권3에는 외구 권부형과 선비인 김씨의 묘지명을 비롯하여 장후상‧장위항‧장위형 등 세 분의 가장이 수록되어

  • 구택규 / 具宅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3∼1754). 1714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된 후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고, 1721년(경종 1) 노론의 실각과 함께 외직으로 물러났다가 동지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듬해 동래부사가 되었다.《속대전》의 편찬에

  • 구포건삼도록 / 九包乾蔘都錄 [역사/근대사]

    1888년 10월 개성포소의 건삼 생산량을 기록한 도록(都錄). 편자 미상. 1책. 필사본. 청일상인(淸日商人)의 인삼 밀무역에 대항, 왕실재정의 확충을 위하여 작성한 장부인 것 같다.인삼은 5년 내지 7년을 재배한 다음 이 중 제일 큰 것을 쪄서 말려 중국으로 수출하

  • 구포낙동강교 / 龜浦洛東江橋 [경제·산업/교통]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는 다리. 너비 11.70m, 길이 1,336.0m의 2차선 교량으로 1973년에 준공되었다. 상부구조는 4경간 연속강판형(plate girder) 4개조 및 PSC 거더 4경간으로 구성되었고, 하부구조는 대구경(大口徑)

  • 구포수삼도록 / 九包水蔘都錄 [역사/근대사]

    1888년 10월 개성포소의 수삼 생산량을 기록한 도록(都錄). 편자 미상. 1책. 필사본. 청일상인(淸日商人)의 인삼 밀무역에 대항, 왕실재정의 확충을 꾀하여 작성한 장부인 것 같다. 수삼이란 생삼(生蔘)을 일컫는 것으로 중국으로의 수출용이 아니라 국내의 일반 약재용

  • 구포왜성 / 龜浦倭城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왜장이 쌓은 일본식 성곽.시도기념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면적 29,548㎡이다. 임진왜란 때 왜장인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와 다치바나[立花宗茂] 등이 김해와 양산 사이의 연락을 위해 쌓은 일본식 성으로 김해성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