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장위항 / 張緯恒 [종교·철학/유학]

    1678년(숙종 4)∼1747년(영조 23). 조선 후기 의병·문신. 증조는 장용경, 조부는 장연이다. 부친은 장옥상과 모친 이세구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도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05년(숙종 31) 식년시 생원 3등 15위로 합격, 1727년(영조 3) 증

  • 장유 / 張維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38(인조 16). 조선 중기의 문신. 자중 증손, 할아버지는 일, 아버지는 운익, 어머니는 박숭원의 딸이다. 우의정 김상용 사위로 효종비 인선왕후의 아버지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1609년(광해군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 대

  • 장자 / 莊子 [종교·철학/도교]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 및 그의 후학들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책. 내편, 외편, 잡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편은 소요유, 제물론, 양생주, 인간세 등 7편인데, 소요유와 제물론이 장주의 사상 정수에 해당한다. 외편은 병무, 마제, 거협, 재유, 천지, 천도, 천운

  • 장잠 / 張潛 [종교·철학/유학]

    1497년(연산군 3) 6월 26일∼1552년(명종 7).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은 장충순이다. 조광조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조광조가 죽음을 당한 후 은거하여 죽정정사를 짓고 학문에 몰두하였다. 묘갈명은 족손인 장현광이 지었다. 그의 문집으로『죽정일고』가 전해진다.

  • 장조 / 莊祖 [종교·철학/유학]

    조선 영조의 둘째 왕자(1735∼1762). 어려서 영민하고 시서를 좋아하였다. 1749년(영조 25)에 부왕을 대신하여 정치를 시작하였다. 세자로서 광폭한 행동을 일삼다 영조에 의해 뒤주 속에 갇혀 8일 만에 죽었다.

  • 장취오 / 張聚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70). 조부는 장효민, 부친은 장시서이다. 1756년(영조 32) 병자 정시 병과 3위에 급제하였다. 영조의 사랑을 받아 왕으로부터 어제인 《자성편》·《식경편》그리고 어제어필인《대보단갱첩》을 하사받았는데, 8대손인 장기덕에 의해 보존되

  • 장현광 / 張顯光 [종교·철학/유학]

    1554-1637. 조선 중기의 유학자. 정구를 종유하였으나 뚜렷한 사승관계는 없었다. 여러 차례 벼슬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퇴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여헌집>, 편저에는 <역학도설> 등이 있다.

  • 장효근 / 張孝根 [종교·철학/천도교]

    1867-1946년. 독립운동가·천도교인. 1898년 8월 이종일·유영석 등과 함께《제국신문》의 창간, 보급에 참여하였으며, 1906년 6월에는 오세창·이인직·권동진 등과 같이 천도교의 기관지인 《만세보》를 창간, 민족혼을 일깨웠다. 그뒤 1909년 6월에는《대한협회

  • 장흥효 / 張興孝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3(인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 팽수의 아들, 어머니는 안동권씨이다. 김성일·유성룡을 사사, 뒤에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문하에 이휘일 등 학자가 있다. 1633년에 창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교지가 도착되기 전에 죽었다. 저서에『경당

  • 장희적 / 蔣熙績 [종교·철학/유학]

    1627-1705. 조선후기 유학자. 부친은 문진, 모친은 김득지의 딸이다. 아우가 사마시에 합격하자 과거를 그만두고 세심정을 지어 소요하였다. 1681년 중풍을 맞아 반신불수가 되었으나 거문고와 시주를 즐기며 여생을 보냈다. 1705년 7월 6일 병으로 졸하였다.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