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구지봉 / 龜旨峰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 있는 산. 구지봉(龜旨峰)은 시의 중심부로부터 북쪽으로 약 2㎞ 정도 떨어져 있는데, 봉(峰)이라고 부르기에는 다소 낮은 동산에 해당된다. 그러나 가야의 건국설화로 인하여 구지봉은 역사적인 봉우리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구지뽕나무 / Cudrania tricuspiata (Carr.) Bureau ex Lavallee [과학/식물]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 꾸지뽕나무는 뽕나무와 쓰임새가 비슷하나 박달나무와 맞먹을 정도로 단단하다. 뽕나무보다 더 단단하다는 뜻으로 ‘굳이뽕나무’라고 하였고, 이것이 변하여 꾸지뽕나무가 되었다. 누에를 키우기 위해 대접받는 뽕나무가 부러워 굳이
구지하성 / 久知下城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장성군 부근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5방성 중 하나인 성곽. 성터. 백제가 사비성으로 천도한 뒤 도성 안은 5부(五部), 지방에는 5방제(五方制)를 실시할 때 지금의 전라남도 장성군 부근에 두었다. 5방은 중방의 고사성(古沙城), 동방의 득안성(得安城), 서방
구천각 / 九千閣 [예술·체육/건축]
북한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東興山)에 있는 고려전기 함흥읍성의 누정.누각·조경건축물. 정면 3칸, 측면 3칸의 2익공 사모지붕건물. 함흥읍성(咸興邑城)의 북장대(北將臺)로서 고려 예종 3년(1108)에 처음 세우고, 1713년(숙종 39)에 고쳐 지었다.전
구천동주목군총 / 九千洞朱木群叢 [과학/식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주목군총. 전라북도 기념물 제2호. 덕유산의 주봉 향적봉(香積峰)을 올라가다가 8부 능선쯤 되는 해발 1,200m를 지나는 곳부터 수령 300∼500년생 1,000여 그루의 주목이 군락을 이루어 넓은 면적을 꽉 메우고 있다. 주목은
구천서원 / 龜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에 있는 서원. 1686년(숙종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응수(權應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경덕사(敬德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권응심(權應心)을 추가로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
구천서원 / 龜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위성리에 있었던 서원. 1714년(숙종 40) 지방유림의 공의로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뒤 박의중(朴宜中)·김효정(金孝貞)·정휘(鄭輝)·장용헌(張龍翰)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구천서원 / 龜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에 있는 서원. 1701년(숙종 27)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맹지(朴孟智)·양관(梁灌)·표연말(表沿沫)·강한(姜漢)·양희(梁喜)·하맹보(河孟寶)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구천유고 / 龜川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세필의 서(書)·예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35권 18책. 필사본. 그의 문인들이 필사하여 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7은 서(書) 27편, 권8∼35는 예설(禮說)로 구성되어 있다.서는 스승인 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를 비롯하여
구촌유고 / 龜村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5년에 편집한 시문집. 상·하 2권 2책. 필사본. 1765년(영조 41) 후손들이 유고를 모아 편집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정작(李庭綽)과 현손 숭(崇)이 쓴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1책에 시 18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