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문경새재도립공원 / 聞慶─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문경시, 충청북도 충주시와 괴산군 지역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면적은 5.494㎢로, 1981년 6월 4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새재(鳥嶺)는 영주와 단양의 죽령, 김천과 영동의 추풍령과 함께 교통이 발달하기 이전까지는 한양과 영남을 잇는 교통ㆍ군사ㆍ경제ㆍ
문산천 / 汶山川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과 양주시 백석읍의 꾀꼬리봉(425m)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임진강에 합류하는 하천. 문산천은 임진강의 제1지류로서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내포리 임진강 하류부 좌안측으로 유입하여 임진강에 합류한다. 유역면적 187.73㎢, 유로연장 30.0㎞이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 ─天然保護區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해상의 무인도인 문섬과 범섬을 중심으로 지정된 천연보호구역. 2000년 7월 18일에 천연기념물 제421호로 지정되었다. 문섬은 동서 길이 530m, 남북 길이 300m로 동서 방향의 긴 타원형 무인도이다. 면적은 96,833㎡이고, 섬 정상의
문수봉 / 文繡峯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61m.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의 도계를 이루는 문수봉은 월악산국립공원 안에 있으며 주변에는 어래산(御來山, 814m)·하설산(夏雪山, 1,027m)·매두막(1,099m) 등의 고봉이 솟아 있다.
문수산 / 文殊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621m.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노령산맥 중의 산으로 북쪽의 방장산(方丈山, 734m)과 남쪽의 고성산(古城山, 546m)·태청산(太淸山, 593m) 등과 함께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문암산 / 門巖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중남면에 있는 산. 높이 2,062m. 부전고원 자체가 1,000m 이상의 고지이므로 문암산은 그리 높게 보이지는 않는다. 북쪽의 오봉(五峯, 1,618m)과 서쪽의 고봉(高峯, 1,473m)에 연결되는 산정부는 그 능선이 북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동쪽
물영아리오름습지 / ─濕地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수령산 일대 분화구에 있는 소택지. 제주도에는 항상 물이 마르지 않는 화구호(화산 분화구가 막혀 물이 고여 만들어진 호수)를 가진 오름이 10여 개 있는데, 물영아리오름은 이 중 하나이다. 물영아리오름습지는 제주도에서는 2000년에
물장오리오름습지 / ─濕地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에 있는 소택지. 물장오리오름습지는 「자연공원법」에 의한 ‘국립공원지구’,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조성을 위한 특별법(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에 의한 ‘절대보전지역’,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182
미륵도 / 彌勒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과 미수동·봉평동·도남동에 있는 섬. 동경 129°23′, 북위 34°47′에 위치한다. 1967년에 건설된 충무교(忠武橋)와 1998년에 완공된 통영대교(길이: 591m, 너비: 20m)에 의해 통영반도와 연결되어 있다. 면적은 32.9㎢이다.
미시령 / 彌矢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와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사이에 있는 고개. 미시령의 해발고도는 826m로, 한계령과 함께 내설악과 외설악을 가르는 고개일 뿐 아니라, 예로부터 진부령·대간령·대관령 등과 함께 태백산맥을 넘는 주요 교통로였다. 서울에서 44번 국도를 타고 홍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