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계삭회 / 季朔會 [종교·철학/개신교]
감리교 교회조직의 일종으로, 오늘날 감리교 여성교회의 지방의회. 1930년 12월 2일 미감리회와 남감리회가 연합하여 기독교조선감리회가 조직되면서 계삭회의 명칭이 구역회로 바뀌었다. 1893년 서울 정동교회에서 조직된 미감리회의 보호여회(保護女會)와 남감리회에서 19
계산서 / 計算書 [문학/현대문학]
이선희(李善熙)가 지은 단편소설. 1937년 『조광(朝光)』 3월호에 발표되었다. 「매소부(賣笑婦)」와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남성본위의 가치 및 질서로부터 여성의 폐해의식과, 남성과 대등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의 존재 확인을 추구하는 일련의 작품 중의 하나이다.
계성 / 桂成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녕 지역의 옛 지명. 신라 때의 이름은 알 수 없고, 고려 현종 때 밀성군(密城郡)에 속하였다가 1356년(공민왕 5) 영산현(靈山縣)의 임내(任內)로 하였다. 공양왕 때 다시 밀성군에 속하였다가 1394년(태조 3) 영산군의 속현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계성학교맥퍼슨관 / 啓聖學校맥퍼슨館 [예술·체육/건축]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선교사 아담스에 의해 건립된 학교건물.근대건물. 시도유형문화재. 현재 계성학교 교회로 사용하고 있는 1동의 건물로, 2003년 4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다. 계성학교를 설립한 아담스(Adams) 선교사가 미국
계성학교아담스관 / 啓聖學校아담스館 [예술·체육/건축]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선교사 아담스에 의해 건립된 학교건물.근대건물. 시도유형문화재. 현재 계성학교의 중학교 교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1동의 건물로, 2003년 4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었다. 1908년 대구 최초의 선교사인 아담스(
계성학교핸더슨관 / 啓聖學校핸더슨館 [예술·체육/건축]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계성학교 교장 핸더슨이 건립한 학교건물.근대건물. 시도유형문화재. 1931년 당시 계성학교 제4대 교장이었던 핸더슨(Henderson)이 블레어(Blair) 선교사가 미국에서 염출(捻出)한 자금으로 건립한 건물로, 2003년 4월 30
계약장정 / 契約章程 [종교·철학/유학]
대한제국기 관료 이용원이 1905년에 종래의 향약법을 가감하여 정한 규약을 기록한 향약서. 1905년(광무 9)에 이용원(李容元)이 종래의 향약법(鄕約法)을 더하거나 덜어서 정한 규약을 적어놓은 책이다. 서두에 “방남전여씨여아동방제현향약법병증손입규문(倣藍田呂氏與我東方諸
계천기원절 / 繼天紀元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선포 및 광무황제의 즉위기념일. 1897년 9월 17일 조선조 제26대왕인 고종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갑오경장 폐치 후 채택한 조선 독자의 연호인 건양과 중국연호 광서 등의 연호사용을 지양, 새 연호로 광무를 채택하여 스스로 광무황제로 즉
계하자문책 / 啓下咨文冊 [역사/근대사]
1881년부터 1882년까지 청나라에 보낸 자문을 모아 통리기무아문에서 편찬한 관찬서.자문록. 2책. 필사본.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서 편찬하였다.제1책은 1881년의 것으로 김윤식(金允植)·어윤중(魚允中) 등 영선사(領選使) 일행의 청나라에서의 활약상과 60여명
계화 / 桂和 [역사/근대사]
1884-1928년. 독립운동가. 본관은 수안(遂安). 본명은 활(活). 호는 백연(白囦). 일찍이 만주로 이주하여 대종교에 입교, 서일(徐一) 등과 만주에서 중광단(重光團)을 조직, 항일운동에 종사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한 뒤 중광단을 개편하여 항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