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 언문일치 / 言文一致 [언어/언어/문자]

    글로 쓰는 문장이 입으로 말하는 언어와 일치되는 현상. 1908년에는 각의의 결정을 통하여 공문서를 오히려 국한문 하나로 통일하는 조처를 취하였다. 그런데 당시의 순국문체는 표기문자의 문제요, 실질적으로는 국한문체와 다름이 없는 것이었다. 제1단계를 거쳐 제2단계인 1

  • 언문지 / 諺文志 [언어/언어/문자]

    1824년(순조 24) 유희가 지은 한글 및 한자음 관계 연구서. 유희는 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의 범례와 책 끝에서 언급한 ‘언문초중종삼성변(諺文初中終三聲辨)’ 등을 바탕으로 하여, 『언문지』 전반에 걸쳐 한자음을 제대로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이

  • 언어심리학 / 言語心理學 [언어/언어/문자]

    언어를 산출하고 이해하는 심리과정을 탐구하는 인지심리학의 한 분야. 심리학의 창시자인 분트(Wundt, W)가 이미 방대한 언어심리학(Sprachpsychologie)의 체계를 구축하고,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전체표상이라는 근대적인 개념을 정립하였다. 근대 언어심리학은

  • 언어정책 / 言語政策 [언어/언어/문자]

    국가나 민간 기관이 국민이 사용하는 말을 통일·발전시키기 위하여 펼치는 정책. 언어정책이란 국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국가가 어문 규범을 제정하여 보급하고, 국민이 사용하는 문자를 지정하며, 언어를 순화하고, 국어과 교육과정을 제정하며 국어 교과서를 개발하는 정

  • 언어지리학 / 言語地理學 [언어/언어/문자]

    한 언어 안의 방언적 변이나 친근한 언어들 사이의 변이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각 변이의 동태적 관계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파악하려는 언어학의 한 분야. 언어지리학은 결국 각 지역 방언에 나타나는 변이형들과 그 분포에 근거하여 각 변이형들로 분화되기

  • 언어학 / 言語學 [언어/언어/문자]

    언어의 본질과 기능 그리고 변화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인문과학의 한 분야. 과거와 현재의 모든 언어와 언어전달과정에서 생기는 물리적·생리적·심리적인 요인, 그리고 말을 기록하는 문자에 의한 표기체계 등이 연구대상이 된다. 이렇게 어느 한 언어에 한정되지 않고 언어일반에

  • 언음첩고 / 諺音捷考 [언어/언어/문자]

    1846년(헌종 12)에 시곡병부(詩谷病夫) 또는 석범(石帆)이 우리말의 소리나 한자음을 구별하기 위한 편람으로 만든 책. 2권 1책. 필사본. 상권의 끝에는 ㄷ종성고(終聲考)라 하여 ≪훈몽자회≫·≪동의보감≫·≪소학언해≫·≪사성통해≫에서 뽑은 ‘ㄷ’받침으로 끝나는 단어

  • 여소학 / 女小學 [언어/언어/문자]

    1882년(고종 19) 박문호(朴文鎬)가 부녀자들에게 필요한 글을 모아 언해한 부녀자용 교육서. 제1책의 앞에 제사(題辭), 목록(目錄)이 있고, 권1의 본문이 이어진다. 제6책의 뒷부분에 여소학발(女小學跋)과 후발(後跋), 그리고 자훈방언동이고(字訓方言同異考)가 들어

  • 여요전주 / 麗謠箋注 [언어/언어/문자]

    양주동(梁柱東)이 고려시대 가요를 주해한 주석서.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194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펴낸 신라향가를 주석한 ≪조선고가연구 朝鮮古歌硏究≫의 속편이며, 주석의 대부분은 8·15광복 이전에 집필하여 발표한 것을 수합하여 증보하고 보완한 것

  • 여훈언해 / 女訓諺解 [언어/언어/문자]

    1532년(중종 27)에 최세진(崔世珍)이 『여훈』을 언해하여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한 책. 2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최세진이 언해한 『여훈언해』의 중간본일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책의 앞에 명나라 세종이 1530년에 쓴 『어제여훈서(御製女訓書)』가 있

페이지 / 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