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고전시가 8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고전시가
  • 불굴가 / 不屈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기에 변안열(邊安烈)이 지었다고 전하는 단가.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고, 한역가(漢譯歌)와 창작경위가 『원주변씨세보(原州邊氏世譜)』 경신보(庚申譜) 권1 잡록부(雜錄附)에 수록되어 있다. 변안열은 1351년에 공민왕을 따라 고려에 와서 귀화한 장수로 무공을 많

  • 불우헌가 / 不憂軒歌 [문학/고전시가]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단가. 내용은 관리의 세계에서 뜻대로 되는 일이 없었는데, 이러한 은혜와 광영을 입고 보니, 이 영광스러운 모습을 어서 속히 임금에게 보이고 싶다는 것이다. 형식은 재래의 송축가형식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 그 연원은 고려시대

  • 불우헌곡 / 不憂軒曲 [문학/고전시가]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경기체가. 정극인의 문집인 『불우헌집』 권2에 전한다. 전 6장으로 되어 있으며 제6장 마지막의 낙구(落句)를 독립된 장으로 본다면 모두 7장이 된다. 제1장에서는 벼슬을 그만두고 자연에 묻혀 거문고와 책과 바둑과 장기를 즐기

  • 불우헌집 / 不憂軒集 [문학/고전시가]

    조신 초기의 문신·시인 정극인의 시문집. 2권 1책. 석판인쇄본. 1786년(정조 10) 후손인 효목이 편집간행한 것을 1969년 정씨서륜당에서 중간하였다. 권두에 황경원·황윤석의 서문과 권말에 정내동·정팔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58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 붕우춘회곡 / 朋友春懷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규방가사. 즐거운 봄을 맞아 옛 친구를 애절하게 그리워하는 심정으로 갑진년 봄에 지은 것인데, 갑진년은 대체로 1904년인 듯하다. 4음보 1구로 헤아려 총 436구로, 3·4조와 4·4조의 정연한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붕우유신(朋友有

  • 비가 / 悲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현종 연간에 이정환(李廷煥)이 지은 시조. 작자의 문집인 『송암유고(松巖遺稿)』에 실려 있다. 제작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작품의 소재인 병자호란의 국치와 이정환의 사망 연대로 보아 1636(인조 14)에서 1673(현종 14) 사이로 추정된다. 병자호란의 국

  • 비형랑주사 / 鼻荊郞呪辭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지왕의 아들 비형랑(鼻荊郞)에 관한 주사(呪辭). 「비형랑주사」는 지금까지 단순히 귀신 이야기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비형랑은 왕의 사령이 낳은 아들로 귀신을 부릴 줄 알 뿐만 아니라 길달 같은 귀신을 잡아 죽이는 영력을 소유한 인물이다. 이러한 점으로

  • 사군별곡 / 四郡別曲 [문학/고전시가]

    1732년경에 이유(李渘, 1675∼1753)가 지은 기행가사. 작자 미상의 『고시헌서가사집(古時憲書歌辭集)』에 수록되어 전한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48구의 기행가사이다. 총 260구인 장편 기행가사인 서문택(徐文澤, 1657∼1706)의 「사군별곡(四郡別曲

  • 사내기물악 / 思內奇物樂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원랑도(原郎徒)가 지었다는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작자만이 『삼국사기』 잡지(雜誌) 제1 악조(樂條)에 전하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樂志) 17에 옮겨져 있다. 작품과 설명이 하나도 전하지 않아 내용과 형식을 살필 수 없

  • 사내악 / 思內樂 [문학/고전시가]

    신라 내해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악(歌樂). 가사와 악곡은 전하지 않으며, 그 제목만이 『삼국사기』 권32 악지(樂志)에 전한다. 애장왕 때에 「사내무 思內舞」라는 무곡(舞曲)이 있었고, 또 『삼국사기』 악지에 「사내기물악 思內奇物樂」·「덕사내 德思內」·「석남사내

페이지 / 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