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경제·산업 83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경제·산업
  • 도계탄전 / 道溪炭田 [경제·산업/산업]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에 있는 무연탄전(無煙炭田).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 대방(大方)·삼마(三馬)·경동(慶東) 탄광 등 북부의 개발지역과 남부의 미개발지역으로 구분된다. 도계탄전은 오십천단층(五十川斷層)과 상덕단층(上德斷層)을 경계로 그 서부에 분포하는 평안계

  • 도고 / 都賈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상품을 매점매석해 가격 상승과 매매 조작을 노리던 상행위의 한 형태, 혹은 그러한 상행위를 하던 상인 또는 상인 조직. 도고는 18세기 이전부터 나타난 대외 무역의 증대, 금속 화폐의 유통, 상품 경제의 발달 등을 배경으로 발생하였다. 시전 상인·공인들은 국

  • 도로 / 道路 [경제·산업/교통]

    사람과 재화의 공간적 이동을 돕는 교통시설물. 도로는 인류문명 발전의 기초이며 물자의 운송로, 지식과 문화 및 기술 등의 전파로, 군사 이동로로서 인간집단 상호간의 정보교환과 재화의 유통을 촉진시키는 수단이었다. 우리나라의 「도로법」에서는 ‘일반의 교통에 공용되는 도로

  • 도로교통공단 / 道路交通公團 [경제·산업/교통]

    도로교통의 안전을 꾀하는 경찰청 산하 준정부기관. 도로교통의 위해방지를 위하여 도로 이용자의 질서의식을 높이는 데 필요한 계몽홍보와 운전자에게 교통안전교육과 기술개발 연구로써 도로교통안전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두고 1954년 2월 대한교통안전협회로 설립되었다. 급성장

  • 도리깨 [경제·산업/산업]

    콩·보리 등 곡식을 두들겨서 알갱이를 떨어내는 데 쓰이는 연장. 『농사직설(農事直說)』의 ‘고로(建吉: 향명은 都里鞭)’, 『과농소초(課農小抄)』와 『월여농가(月餘農歌)』의 ‘연가(連暇)’,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의 ‘도리(邏)’, 그리고 『농정촬요(農政撮要)』의

  • 도매업 / 都賣業 [경제·산업/산업]

    재판매용·산업용·업무용 등으로 구입하려는 재판매업자나 구매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유통업의 한 형태. 일반적으로는 소매(小賣)를 제외한 재판매·구입활동을 가리킨다. 이러한 도매업의 성격으로부터 도매업은 생산업과 소매업을 연결하면서 양자에 대하여 수급조정기능,

  • 도목장 / 都目狀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지방에 거주하는 공노비의 총괄장부. 공노비는 사노비와 달리 국가에서는 3년마다 이들에 대한 호적을 정리하여 속안을 작성, 다시 20년마다 정안을 마련하여 의정부·형조·장례원·사섬시·본도·본읍에 비치하고, 수령·관찰사 등 지방관에게 이들에 대한 관리를 책임지도

  • 도승 / 渡丞 [경제·산업/교통]

    조선시대 한강변에 설치한 한성과 지방을 연결하는 진·도의 관리책임자. 국초의 진도별감을 1415년(태종 15) 종9품의 도승으로 개정한 데서 비롯되었다. 조선 후기 별장이라 하여 병조에서 관할하였다. 조선 초기는 이조에서 양반 자제들로 임명, 국왕의 왕릉참배로 인하여

  • 도전 / 渡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서울 주변 큰 강의 요로에 설치된 도진에 나누어 지급되어 있던 토지. 각 도진에는 지휘관원으로 도승(渡丞)과 뱃사공으로서의 진척(津尺)을 두고 각기 늠급위전(廩給位田)과 진척위전(津尺位田)을 절급하였다. 이 둘을 합칭한 것이 도전이다. 도진제도는 세종 때 다시

  • 도정 / 都定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소작료 산정 및 징수방법. 매년 작황을 조사하여 일정액의 소작료를 산정하던 방법으로, 주로 궁방전의 소작지에서 행하여졌다. 이는 조선 후기에 정액지대인 도조법(都租法)이 행해지면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페이지 / 8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