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도감관 / 都監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내수사 및 궁방에 소속된 관직. 내수사 및 궁방의 지역단위 토지관리책임자이다. 여기에는 주로 내시나 이서들이 임명되었으므로 사대부들이 도감관에 임명되는 경우 회피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도피차역률(逃避差役律)로 처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왕족들의

  • 도결 / 都結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전정의 폐해. 서리가 관서의 공전(公錢)이나 군포를 사용에 충당하고 이를 보충하는 미봉책으로 마을에 징세도록(徵稅都錄)을 발표, 배부할 때, 전결세율(田結稅率)을 정액 이상으로 기입하여 징수하는 것을 말한다. 결세(結稅)를 법정액 이상

  • 도경유 / 都慶兪 [종교·철학/유학]

    1596(선조 29)∼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1624년(인조 2) 사마시에 합격, 정묘호란 때 호남으로 세자를 호종하였으며, 난이 끝난 뒤 금부도사·평양서윤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경상도관찰사 심연의 종사관이 되어 쌍령전투에

  • 도고 / 都賈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상품을 매점매석해 가격 상승과 매매 조작을 노리던 상행위의 한 형태, 혹은 그러한 상행위를 하던 상인 또는 상인 조직. 도고는 18세기 이전부터 나타난 대외 무역의 증대, 금속 화폐의 유통, 상품 경제의 발달 등을 배경으로 발생하였다. 시전 상인·공인들은 국

  • 도곡문집 / 陶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박종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6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06년 11대손 노규(魯奎)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중린(李中麟)의 서문과 권말에 노규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 도곡서원 / 道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었던 서원. 1701년(숙종 27)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승숙(趙承肅)·정복주(鄭復周)·노숙동(盧叔仝)·노우명(盧友明)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노사예(盧士豫)와 정수민(鄭秀民)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

  • 도곡유고 / 陶谷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양원의 시·소·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활자본. 그의 아들 집춘(集春)·집하(集夏)·집생(集生)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68수, 소 8편, 수의(收議) 8편, 권2·3에 기적(紀蹟)

  • 도곡집 / 道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종운(1792∼1825)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91년(고종 28) 자형 송기용(宋琦用)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신응조(申應朝)의 서문과 권말에 송기용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

  • 도곡집 / 陶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의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6년에 간행한 시문집. 32권 16책. 활자본. 1766년(영조 42) 손자 학조(學祚)에 의해 편집되었고, 황해도관찰사 신회(申晦)에 의해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 도과 / 道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각 지방에서 왕명에 의하여 특별히 실시된 부정기적인 과거. 세조 때는 평양·온양·강릉·고성 등지에서 별시가 실시된 이래, 개성부·강도·공주·전주 등지에 정시가 많이 실시되었다. 이는 국왕이 지방을 순시하며 민정을 살펴보는 가운데 실시된 것이다. 이를 계승한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