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홍이간 / 洪履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3∼1827). 아버지는 선양이다. 음사로서 관직에 나아가, 의금부도사·남부령·형조좌랑·임실현감을 지냈다. 이후 공조좌랑·안성군수·전주부판관·밀양부사·경주부윤 등을 역임하고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저서로 《남헌고》가 있다.

  • 홍익필 / 洪翼弼 [종교·철학/유학]

    1777년(정조 1)∼1825년(순조 25). 조선 후기의 문신. 직필의 사촌동생이다. 1805년(순조 5)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처음 벼슬이 광릉참봉, 창평현령을 역임하였다.《매산집》에는 능참봉으로 있을 때인 1814년(순조 14)에 사촌형인 직필이 ‘능관은 비록 낮은

  • 홍익한 / 洪翼漢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숙의 현손, 서주의 증손, 할아버지는 애, 아버지는 이성, 어머니는 김림의 딸이다. 백부인 교위 대성에게 입양되었다. 이정구의 문인이다.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사서를 거쳐,

  • 홍인한 / 洪麟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6). 예조판서·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냈다. 세손(정조)과 사이가 나빠 다른 풍산홍씨들이 세손을 보호하는 시파에 가담한 것과는 달리 세손 즉위를 반대하는 벽파에 가담했다. 정조 등극 후 유배, 위리안치 된 후 사사되었다.

  • 홍일순 / 洪一純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56년(철종 7). 부친은 홍우필이다.《매산집》에 의하면 1818년(순조 18)에 매산 홍직필의 양자가 되었다.《일성록》에 의하면, 1845년(헌종 11) 1월 3일에 초사로 가감역에 제수되었고 1848년(헌종 14)에 과천현감을 지냈다. 조

  • 홍재 / 洪梓 [종교·철학/유학]

    1707년(숙종 33)∼1781년(정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구조의 아들이다. 1753년(영조 29) 시직으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754년 정언·호남어사·부교리·부수찬을 역임하였다. 1756년 헌납, 1757년 수찬으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 보덕을 거

  • 홍재전서 / 弘齋全書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정조의 시문집. 184권 100책. 활자본. 1차 편찬은 1799년(정조 23) 규장각직제학 서호수가 주가 되어 어제회수법을 정하고 의례를 세운 후, 편차를 나누어 이만수·김조순·이재수 등과 함께 편찬하였다. 서영보에게 잇게 하여, 총 190편을 완성하였다.

  • 홍재정 / 洪在政 [종교·철학/유학]

    1881-1957년. 일제강점기의 유학자. 자는 성칠(聖七)이고, 호는 석암(石巖)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증조부는 홍익대(洪益大)이고, 조부는 홍종필(洪宗弼)이며, 아버지는 홍인변(洪仁變)이다. 항산(恒山) 홍재목(洪在穆)과 추담(秋潭) 이순성(李舜性)의 문

  • 홍재하 / 洪載夏 [종교·철학/유학]

    1882-1949.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경우(敬禹)이고 호는 우석(愚石)·석헌(石軒)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경상북도 부림현(缶林縣), 곧 지금의 군위군(軍威郡) 부계면(缶溪面)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홍우영(洪宇永)이고, 조부는 홍기석(洪祺錫)이며, 아

  • 홍재학 / 洪在鶴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881년(고종 18). 조선 말기의 애국지사. 본관은 남양. 1880년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고종에게 올려 이에 대한 찬반론이 대두하게 되었다. 당시 조정은 개화정책을 강화하기 위하여 《조선책략》의 복사본을 전국유생에게 배포하였다. 이러한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