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우리말본 / 우리말본 [언어/언어·문자]
최현배가 지은 문법책. 1937년에 초판, 1955년에 개정판,이후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왔다. 최현배는 주시경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말본>은 그 씨가름에서 월가름에 이르기까지 옛 설명을 그대로 쓴 것이 거의
우리옛말본 [언어/언어/문자]
허웅(許雄)이 지은 국어문법서. ‘15세기 국어 형태론’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책의 내용은 크게, Ⅰ.앞머리, Ⅱ. 조어론, Ⅲ.준굴곡론, Ⅳ.굴곡론, Ⅴ.그밖의 품사들로 짜여 있다. 이 책의 주된 언어이론은 형태론을 형태·통어적 관점에서 겉구조와 속구조의 기능관계
우암집 / 尤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송시열의 문집. 1717년(숙종 43) 민진후 건의에 의하여 왕명으로 운관에서 철활자로 간행되었다. 본집 158권 및 별집 9권, 후에『경례문답』24권이 간행, 1732년(영조 8)에 연보 5권이 간행되었다. 송나라 장식의 문집 편차를 따랐다.
우원집 / 愚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임성원의 시「우음」·「필운대」 등을 수록한 시집. 2권 2책. 필사본. 선본(善本)이며, 간행하기 위하여 누군가가 정리해놓은 듯하나 서문과 발문은 갖추어져 있지 않다. 건(乾)·곤(坤) 2책에 330여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문(文)은 한편도 없다.
우재집 / 愚齋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노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필사한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저자에 관한 기록은 실려 있지 않다. 그러나 강종희(姜宗喜)·김인식(金寅植)이 쓴 서문에 의하여 영조∼철종 때까지 생존하였던 인물로 보인다. 1884년(고종 21) 손자 인식(
우주두율 / 虞註杜律 [문학/고전시가]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5.5×16.7cm이고, 반곽은 18.3×12.3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두율(杜律)이다. 원(元)나라 우집(虞集)이 주석을 한 것으로, 발문(跋文)은 成化7(1471)에 김
우초신지 / 虞初新志 [언론·출판]
장윤(청)편, 목판본. 20권 10책. 작품의 선정, 취합에는 편자 당대 인물들의 문집 및 잡록 단행본, 문장 선집류, 저자로부터 직접 받은 원고 등으로 이루어졌고, 이러한 출전을 목차의 작품명 아래에 부기하고 있다. <우초신지>는 여러 차례 간행되면서 "거의 집집마다
우향계안 / 友鄕契案 [사회/촌락]
경상북도 안동에서 조직된 우향계의 변천과정을 기록한 책자. 우향계는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태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 1368~1430)의 아들 이증(李增)이 안동에 낙향하여 당시 안동의 나이 많고 덕이 높은 인물 12명(안동권씨 3명, 흥해배씨 4명, 영
우헌집 / 愚軒集 [종교·철학/유학]
채헌징의 문집. 목판본, 서:정종로(1806), 발: 김소락(1865), 7권 3책. 입재 정종로가 1806년(순조 6)에 쓴 서문과 의성김씨 김소락이 1865년(고종 2)에 쓴 발문이 있다. 권말에 실려 있는 우헌의 8세손 성환이 쓴 발문에는 간행 연도를 무진년이라고
운강집 / 雲岡集 [종교·철학/유학]
송천익의 문집. 석인본, 서:권중해(1979), 발: 송준희. 선장 2권 1책. 저자의 문집은 1979년에 간행하였다. 권수에는 권중해가 지은 서문이 있고, 권미에 저자의 손자 송준희가 지은 발문이 실려 있다. 문집의 구성은 권두에 서문이 실려 있고, 卷1에는 시가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