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용천담적기 / 龍泉談寂記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김안로가 35가지의 이야기를 수록한 야담집. 1권(42장). 필사본.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권8에 실려 있다. 『대동야승』과 『패림(稗林)』·『시화총림(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있다. 『희락당문고』에서는 잡저로 분류되어 있다. 『용천담적기』는 김안로

  • 용호유고 / 龍湖遺稿 [종교·철학/유학]

    정유귀의 문집. 석인본, 서: 유석우(1984), 발: 정규섭(1984), 2권 1책. 권두에 있는 유석우의 서문에서는 각각의 저자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실려있어 책과 저자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용호유고>는 시 87제 113수와 서 4편, 제문 4편이 있고, 부록

  • 우 / 右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를 쓰다 여백이 없어서 그 오른쪽에 쓴 것의 앞에 표시하는 방법.

  • 우계일고 / 尤溪逸稿 [종교·철학/유학]

    박수서의 문집. 목판본, 서:이돈우(1877), 간궐후:박주대(1910), 2권1책. 1910년 후손 박주대등이 편집‧교감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는 이돈우의 서문과 연보가 있다. 권1에는 시17제 18수, 권2는 부록으로 박주종이 쓴 행장과 조성교가 찬한 묘지명을 수록

  • 우곡집 / 愚谷集 [종교·철학/유학]

    송량의 문집. 목판본, 발:송방유, 송진택(1898), 4권2책. 권1에는 시 21수‧ 부 3편‧ 잠 2편‧ 명 1편‧ 서 15편‧ 통문 1편‧ 잡저 1편이 실려 있고, 권2에는 책 3편‧ 제문 3편‧ 행장 1편‧ 묘지 1편이 실려 있으며, 권3과 권4는 부록으로 가장

  • 우국가첩 / 憂國歌帖 [문학/고전시가]

    조선전기의 무인 이덕일이 지은 가곡 첩. 조선전기의 학자 철실(漆室) 이덕일(李德一, 1561~1622)이 지은 것으로, 그의 문집 『칠실유고(漆室遺稿)』에 수록되어 전해지는 28작품의 가곡 첩(帖)이다. 임상덕(林象德)의 「우국가후서(憂國歌後叙)」와 나이장(羅以樟)의

  • 우념재시문초 / 雨念齋詩文鈔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봉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4책. 활자본. 이만용(李晩用)의 교정과 아들 명오(明五)·숭오(崇五) 등의 편집을 거쳐 1892년(고종 29)에 간행되었다. 표제에는 ‘우념재시초’ 또는 ‘우념재시문초’로 되었으나, 내용으

  • 우당시초 / 于堂詩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윤희구의 시 「교거잡감」·「동경잡영」·「소조자제」 등을 수록한 시집. 불분권 1책. 연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어 간행연도와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우당시초』는 470여 수의 시로 이루어졌다. 오언절구 3수, 오언율

  • 우당집 / 愚堂集 [종교·철학/유학]

    송세호의 문집. 석판본. 서: 황헌(1905). 발: 송종수(1906). 4권 2책. 권1에는 시 151수가 실려있는데, 그 중에는 상당수의 만사가 들어있다. 권2에는 편지글이 38편의 실려 있는데, 김병익, 이학기 등과 주고받은 편지와 집안 조카에게 쓴 편지가 있다.

  • 우리동무 [문학/구비문학]

    1927년 한충이「원(猿)의 지혜」·「축계망리」 등 총 30여 편의 이야기를 수록하여 발간한 동화집.전래동화집. 1927년 한충의 운향서옥(芸香書屋)에서 발간하였다. 표지에는 ‘朝鮮童話(조선동화) 우리동무’라 되어 있다. 최남선(崔南善)이 서문을 쓰고, 이상범(李象範)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