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덕석말이 [사회/촌락]
전통시대 촌락사회의 규범을 위배한 자에게 멍석을 말아서 매를 때리는 촌락의 자치적 사회통제방식. 부모에게 지나치게 불효한 사람이 생겼을 경우 항렬이 높은 이나 연장자가 동네 회의를 열어서 벌줄 것을 결의하면, 죄지은 사람을 마을사람들이 모인 앞에 끌어내다가 덕석에 말아
덕성서원 / 德星書院 [교육/교육]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서원. 885년(고종 22)에 관북지방의 유림들이 함경도 홍원에서 문경공(文敬公) 임헌회(任憲晦, 1811∼1876)를 배향하기 위해 숭덕사(崇德祠)를 창건하였다. 분단 이후 1978년에 전국 유림의 발기로 그의 유허지가 있는 현재의
덕암만록 / 德巖漫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나도규의 시·서(書)·설·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8권 2책. 석인본. 아들 정근(楨瑾), 손자 종우(鍾宇)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고광익(高光益)·고광선(高光善)의 서문과 권말에 홍석희(洪錫熹)의 발문이 있다. 전주대학교 도서관과 변시연가(邊
덕암문집 / 德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이석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31년(순조 31) 후손 인준(寅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과 권말에 이경유(李敬儒)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첫머리에
덕암집 / 德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최봉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2책. 신활자본. 1934년 그의 후손 우봉(祐鳳)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권말에 한서교(韓序敎)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덕양유고 / 德陽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기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9년 그의 8세손 해근(海根)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고윤주(高允柱)의 서문과 권말에 해근의 발문이 있다. 서문에 이어 그의 문인 백시덕(白時德)이 1750
덕연서원 / 德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정리에 있는 서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1549년(명종 4)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세붕(周世鵬)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66년(현종 7) 중건하였다. 1676년(숙종 2) ‘
덕온공주당의 / 德溫公主唐衣 [생활/의생활]
조선 순조의 셋째 공주인 덕온(德溫)이 입었던 자적색(紫赤色) 직금당의(織金唐衣). 공주가 혼인한 첫해(1837) 동짓날에 입기 위해 준비한 것이라 한다. 공주의 손녀인 윤백영(尹佰榮)이 석주선(石宙善)에게 기증한 것으로, 1964년 12월 7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호로
덕온공주의복 / 德溫公主衣服 [생활/의생활]
조선 순조의 셋째 공주인 덕온이 입었던 의복. 유물들은 1837년(헌종 3) 공주의 길례(吉禮) 때 착용하였던 원삼(圓衫)을 비롯한 당의(唐衣)·장옷·삼회장저고리 각 1점과 누비삼회장저고리 2점 등 의복 6점으로, 공주의 손녀 윤백영(尹伯榮)으로부터 입수된 것이다. 원
덕원 / 德源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문천·원산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초기에 용주(湧州)라 칭하였고,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를 두었으며, 뒤에 의주(宜州)라 개칭하였다. 1413년(태종 13) 의천(宜川)으로, 1437년(세종 19) 덕원으로 고치고 군(郡)으로 된 뒤, 태조의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