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홍순병 / 洪淳柄 [종교·철학/유학]
1871-1941년.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윤칠(允七)이고, 호는 몽와(蒙窩)이며,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문정공(文正公) 홍언박(洪彦博: 1309∼1363)의 후예이며, 문경현감(聞慶縣監) 홍함(洪涵: 1549∼?)의 후손으로, 홍병한(洪秉翰)의 현손이다. 본
홍순주 / 洪淳柱 [종교·철학/유학]
1897-1971. 현대 유학자. 자는 겸오(兼五)이고, 호는 회당(晦堂)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청웅면(靑雄面) 가전(柯田)에서 태어났고 후에 임실군 지사면(只沙面) 선원(仙源)으로 이사했다. 아버지는 홍종혁(洪鍾爀)이다. 어려서부터
홍승경 / 洪承敬 [종교·철학/유학]
1876-1947.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성능(聖能)이고, 호는 운초(雲樵)이다. 본관은 풍산(豊山)이다. 고조는 홍낙질(洪樂質), 증조는 홍우영(洪遇榮), 조부는 홍범주(洪範周)이다. 부친 백남(白南) 홍우익(洪祐益)과 모친 우계이씨(羽溪李氏) 사이에서 3남 가
홍승두 / 洪承斗 [종교·철학/유학]
1879-1953년.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창극(昌極)이고, 호는 춘당(春塘)이다.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경상남도 거창(居昌) 출신이다. 증조부는 홍중근(洪重謹)이고, 조부는 홍학주(洪鶴柱)이며, 아버지는 홍우증(洪佑增)이다. 집이 가난하여 낮에는 밭을 갈고
홍승헌 / 洪承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54∼?). 1875년(고종 12) 경과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과 부교리를 거쳐, 가례도감도청과 부승지를 지냈다. 1902년 궁내부특진관과 충청남도관찰사를 지냈으며, 정부에서 지계사업과 양전사업을 실시하자 충청남도에서 이 사업을 총괄하는 충
홍시제 / 洪時濟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8∼?). 1790년(정조 14) 증광 문과에 급제, 벼슬은 지평·우통례를 거쳐 1814년(순조 14) 부호군이 되었다. 신유박해 때 관직이 추탈된 채제공의 피무를 변명하다가 경상도 기장현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대사간·안주목사·승지·호군 등의
홍식 / 洪湜 [종교·철학/유학]
1449(세종 31)∼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자경 증손, 할아버지는 익생, 아버지는 귀해, 어머니는 민효열의 딸이다. 1483년(성종 1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거쳐 박사·전적·이조좌랑·정언을 역임한 뒤, 1490년 정랑·지평에 올랐
홍양호 / 洪良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4∼1802). 175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홍문관 수찬·교리 등을 거쳤고, 1774년 등준시에 뽑히기도 하였다. 두 차례에 걸쳐 연경을 다녀오면서 중국의 석학들과 교유하여 문명을 날렸으며, 고증학을 수용, 보급하는 데
홍언국 / 洪彦國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아버지는 홍귀달, 형은 홍언충이다. 1495년(연산군 1) 을묘 증광시 생원 2등 20위로 합격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석방되어 고향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의 양성에 전념하였다. 후에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임하였다. 명필로 이름이 있었으며, 작품으로
홍언방 / 洪彦邦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홍득우, 조부는 홍효손이다. 부친 홍귀달과 모친 김숙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홍언충이다. 1502년(연산군 8) 알성시 문과에서 3등 1위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박사, 언양현감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