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덕계일고 / 德溪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증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0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0년경 7세손 희무(熙武)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그의 6세손 숭목(崇穆)·희무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덕곡격언 / 德谷格言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실학자 안정복의 문집 중에서 이기·수신·예절 등에 관한 격언을 발췌하여 편집한 수양서. 3권 3책. 필사본. 편집자 및 편집연대가 모두 미상이며, 서문과 발문이 없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천권(天卷)은 도체(道體)·태극(太極)·총이기(總理氣),
덕곡답문록 / 德谷答問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독립운동가 권상익이 문인 및 제자들과 학문에 대해 나눈 내용을 수록한 문답서. 석판본. 권상익(權相翊:1863~1935)은 한말의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1827~1899)의 문인이다. 1905년 을사늑약
덕곡문집 / 德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유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3년 유식의 후손 희태(熙泰)·민봉(民鳳) 등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8대손 재화(載華)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동욱(東旭)·희태·민봉 등의 발문이 있다. 5권 2책. 목활자본.
덕곡서원 / 德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하리에 있는 서원. 1656년(효종 7)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헌종 1) ‘德谷(덕곡)’이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덕곡집 / 德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윤계정의 도학과 예설에 관하여 저술한 문집. 불분권 3책. 필사본. 서문·발문 및 기타 책의 편집경위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언급한 기록이 없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책1에 도체(道體)·위학(爲學)·궁격(窮格)·함양(涵養)·역행(力行)·거가(居家)·출처(
덕대제 / 德大制 [사회/사회구조]
광산의 주인과 계약을 맺고 그 광산의 일부를 채광하는 덕대가 물주(物主)를 겸하거나 별도의 물주로부터 받은 자금으로 노동자를 고용·관리하여 생산활동을 하던 광산 경영방식. 덕대제는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실시되었고, 한말에는 국가의 승인하에 사금광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덕봉서원 / 德峰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부곡리에 있었던 서원. 1702년(숙종 28)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후경(李厚慶)·이도자(李道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이석경(李碩慶)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
덕봉집 / 德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진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1902년 그의 후손 규일(圭一)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의 서문과 권말에 김도화(金道和)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장
덕산향교 / 德山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동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 때 중건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외삼문(外三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