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구월산성 / 九月山城 [예술·체육/건축]
북한 황해남도 은율군 남부면 구월산(九月山)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고구려의 석축 성곽. 구월산성은 구월산[해발 954m]의 유리한 지형을 이용하여 고구려 때 축성한 포곡식 석축 산성이다. 성벽을 쌓은 산릉선과 봉우리들은 절벽이거나 급한 경사로 인하여 지세
구월총파업 / 九月總罷業 [사회/사회구조]
1946년 9월 24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이 전국적 규모로 일으킨 미군정기 최대의 총파업. 9월 총파업이 일어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은 당시의 식량 문제였고, 정치적 배경은 공산당이 미군정과의 우호적 관계에서 대중투쟁을 전개하는 ‘신전술’로 전환하였기 때
구은 / 九隱 [역사/조선시대사]
1455년(세조 1) 단종(端宗)이 왕위를 양보하자 자취를 감춘 9명의 은자(隱者). 구은에 해당되는 인물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정재(靜齋) 조상치(曺尙治), 둔수(遯叟) 박도(朴渡), 박제(朴濟), 탁영재(濯纓齋) 박규손(朴奎孫), 운와(雲窩) 박효손(
구은유고 / 龜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변진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8년 현손 석균(石均)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이동식(李東軾)의 서문과 후손 호종(鎬宗)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만사 121수, 애사 2편,
구음유집 / 舅陰逾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양시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1권 1책. 석인본. 『어은집(漁隱集)』과 합편되어 있다. 1911년 그의 후손인 석장(錫漳)·석구(錫球)·석윤(錫胤)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아들 여매(汝梅)의 서문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구음재 / 龜陰齋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에 있는 조선전기 무신 윤선 관련 주택.시도유형문화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4호. 조선 중기의 무신 윤선(尹銑)의 연보에 ‘신종황제만력원년계유 독서경어소요당(神宗皇帝萬曆元年癸酉 讀書經於逍遙堂)’이라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1573년(선조 6)경
구음집 / 龜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안기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1910년 안기원의 아들 안종성(安鍾性)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말에 조정규(趙貞奎)와 안종성의 발문이 있다. 5권 2책. 목판본. 충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
구음집 / 龜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광수의 시·서(書)·제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경위가 자세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에 있다. 권1∼3에는 시 222수, 서(書) 17편, 잡저 3편, 제문 21편, 권4에는 가장(家狀)으로 행록
구의산 / 九疑山 [문학/현대문학]
이해조(李海潮)가 지은 신소설. 1911년 6월 22일부터 9월 28일까지 『매일신보』에 연재되었고, 1912년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상편과 하편으로 나뉘어 있다. 총 82회가 연재된 장편으로, 상투적인 구소설로의 퇴행의 면모와 함께 친일적 성격
구이당유집 / 具邇堂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하달영과 그의 아들 하현의 시·제문·만사·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신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 간행된 경위나 연도는 알 수 없다. 장서각 도서와 진주하씨 종손가에 있다. 권1은 『구이당유집』으로 시 7수, 행장 1편, 장계(狀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