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구완식특증문서 / 具完植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참판 고 구완식(具完植)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이 문서는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를 호위한 공로를 기려 특별히 증직한 임명장이다.

  • 구용 / 具容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찬성을 지내고 능안부원군에 추봉된 구사맹, 어머니는 평산신씨 증영의정 화국의 딸이다. 사승관계는 미상이다. 1590년 생원시에 합격, 1598년 김화현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죽창유고』2책

  • 구운기 / 九雲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9권 9책(총 336장). 한문필사본. 천태산 연화도량의 성진(性眞)이 양소유(楊小游)로 환생하여 팔선아(八仙娥)의 환신인 이처육첩(二妻六妾)을 차례로 맞고 공명훈업(功名勳業)을 이루었으나, 환몽을 깨고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 팔이고(八尼姑

  • 구운몽 / 九雲夢 [언론·출판]

    저자 김만중(1637-1692). 필사본. 4권 4책. 표지의 제첨에는 '구운몽'이라는 제목과 권수가 적혀 있다. 이 책은 한문본 <구운몽>을 국역한 이본이다. <구운몽>은 총16회로 되어 있는 장회체소설이다. 하지만 한문본을 직접 번역한 것은 아니며, 표기법에서 나타

  • 구운산 / 九雲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과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에 걸쳐 있는 산. 구운산(九雲山)의 높이는 1,344m로, 소백산맥 주맥 가운데에 있는 산이다. 이 산은 경상북도와 강원도의 도계에서 서쪽으로 삼동산(三洞山, 1,180m)·선달산(先達山, 1,235m)·어래산(御來山, 1

  • 구운수 / 九雲水 [지리/자연지리]

    관모봉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연면수로 흘러드는 강. 구운수(九雲水)는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면과 경성군 주을읍(지금의 함경북도 연사군)의 남쪽 관모봉(冠帽峰, 2,541m)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연면수로 흘러드는 강이다. 강의 길이는 56.1㎞이고, 유역의 넓이는 581㎢이

  • 구원정문집 / 九元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유학자 이형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09년 그의 5대손인 대현(岱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규(李晩煃)의 서문과 권말에 이창연(李昌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 구원집 / 九畹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춘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656년(효종 7) 그의 제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경여(李敬輿)·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권1∼3에 시 417수,

  • 구월산 / 九月山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45m. 우리 나라 4대 명산 중의 하나. 기반암은 흑운모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동남쪽으로 안악·신천·재령 등의 평야 지대와 서북쪽으로 넓은 황해와 평안남도의 남포까지도 시야에 들어온다. 또한, 북동

  • 구월산별곡 / 九月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세종 때 유영(柳穎)이 지은 경기체가. 이 책은 여러 가지 이본에 따라 그 표기와 어휘가 서로 약간씩 다르나, 내용은 대체로 비슷하다. 내용은 제1장에서 문화유씨의 발원지인 구월산과 삼지강(三支江)을 배경으로 한 유주(儒州)에서 시조 유차달(柳車達)로부터 고려조에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