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구연강 / 九淵江 [지리/자연지리]
수룡산에서 발원하여 예성강으로 흘러드는 강. 구연강(九淵江)은 황해도 금천군 합탄면과 경기도 장단군 대남면(지금의 황해북도 토산군과 개성시의 장풍군)에 걸쳐 있는 수룡산(秀龍山,717m)에서 발원하여 예성강(禮城江)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강의 길이는 66.2㎞이고, 유
구연서원 / 龜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대정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이 신권(愼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신권이 제자를 가르치던 구주서당(龜州書堂) 자리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성팽년(成彭年)과 1808년에 신수이(愼守彛)를 추
구연정 / 龜淵亭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에 있는 조선후기 학자 김익동이 건립한 누정. 금호강(琴湖江)변 절벽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 김익동(金翊東)이 독서와 풍류를 위하여 1849년(헌종 15) 건립하였다. 정자 앞으로는 금호강이 넘실거리고, 뒤에는 깎아 세운듯한 용전산 절벽이 있다.
구연학 / 具然學 [문학/현대문학]
1874-미상. 일제 강점기 소설가. 본관은 능성, 출신지는 충청남도 해미(서산)이다. 1904년(광무 8) 중교의숙(中橋義塾)에 입학하였지만 1년 8개월 만에 자퇴하였다. 그 후 관직에 나아가 군부번역관보(軍部繙譯官補)·내각주사(內閣主事)·군부번역관(軍部繙譯官)·승
구연흠 / 具然欽 [역사/근대사]
1883-1937년.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독립운동가. 출신지는 경기도 양주(楊州)이다. 부친은 철원군수를 지냈다. 1922년 이후 무산자동맹회와 신사상연구회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925년 6월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
구와문집 / 龜窩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6년에 간행한 시문집. 1846년(헌종 12)에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고, 편자 미상이다. 본집 14권 7책, 부록·속집 9권 4책, 합 23권 1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
구완동상감청자가마터 / 舊完洞象嵌靑磁─ [예술·체육/공예]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고려후기 이후 상감청자·인화분청사기 등이 출토된 가마터.시도기념물.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5호. 1996년해강도자미술관(海剛陶磁美術館)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하여 모두 2기의 가마유적이 확인되었다.2기의 가마 중 1호가마는 경작과 개간으로 인하
구완동청자가마터 / 舊完洞靑磁─ [예술·체육/공예]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 청자를 굽던 가마터.시도기념물.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4호. 1995년해강도자미술관(海剛陶磁美術館)에서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11세기경에 청자를 생산하였던 청자가마 2기와 고려 후기의 기와가마 1기가 발견된 가마터이다.청자 1호가마는 총
구완식 / 具完植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1891년(고종 28). 1878년(고종 15) 경상우병사, 그후 어영청중군부총관을 거쳐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제수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 때에는 충주로 피신한 명성황후의 호위장으로서 봉영하였다. 1883년 병조참판을 역임하고, 협판군국사무를 지
구완식증시문서 / 具完植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구완식(具完植)에게 '무숙(武肅)'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문서. 1910년 8월 25일 순종은 43명의 벼슬을 추증하였다. 이때 구완식에게는 일찍이 호위한 공로가 있으므로 특별히 정2품 규장각 제학에 추증하고 시호를 내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