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구암집 / 龜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제학의 시·기·행장·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4책. 필사본. 권두에는 아우 제성(濟性)의 서문이 있으나, 편찬·간행경위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서언(敍言), 권2에 기 3편, 서(序) 5편, 제문 1편, 권3에 송(頌) 1편,
구암호 / 鳩巖湖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연백군 괘궁면·목단면(지금의 황해남도 청단군)에 걸쳐있는 호수. 구암호(鳩巖湖)는 넓이 16.40㎢, 둘레 69.5㎞, 너비 1㎞로, 화양천(花陽川)의 중류를 막아서 만들었다. 주위에는 주려산(周呂山,186m)과 아잘봉을 비롯하여 낮은 산들이 있다. 산에는 소나
구압물 / 舊押物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중국 북경으로 가는 사신의 수행원으로서, 방물의 호송 및 관리 책임자. 사역원의 역관 중에서 임명되었다. 동지사·성절사 등의 정기 사행에는 2인의 구압물이 방물영거관(方物領去官)으로 편성되어 수행하였다.
구애문집 / 龜厓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조극승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3책. 목판본. 1898년 그의 아들인 병수(秉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김흥락(金興洛) 등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구애집 / 龜厓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0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조카 이인보(李仁溥)가 초간본을 간행(1830년대 말)하였고, 70여년 뒤인 1909년에 그의 종5세손 이면주(李冕宙)가 중간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
구약전서 / 舊約全書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의 경전. 현재 사용하는 구약은 전체 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약은 율법서, 역사서, 예언서, 시가서, 지혜서, 묵시문학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 개신교에서는 외경이라 하여 경전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이들 제2경전은 토비트, 유딧, 지혜서, 집회서, 바
구양서원 / 龜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거촌리에 있는 서원. 1823년(순조 2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변안열(邊安烈)과 변서회(邊書會)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그들의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
구어 / 口語 [언어/언어/문자]
음성에 의해 표현되는 언어. 음성언어·입말·구두어(口頭語)라고도 한다. 문자로 표기되는 언어, 즉 문자언어 또는 문어(文語)에 대응하는 용어이다. 구어니 문어니 하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입으로 소리를 내어서 의사소통하는 활동과 문자로 써서 의사소통하는
구여순 / 具汝淳 [역사/근대사]
1896-1946. 독립운동가. 호는 일정(一丁). 경상남도 의령 출신. 진주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19년 2월 28일 동생 은득(銀得)의 요청으로 3월 3일 상경하여 3·1운동에 참가하고 곧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3월 12일 고향으로 돌아와, 동지 최정학(崔正
구역인왕경구결 / 舊譯仁王經口訣 [언어/언어/문자]
고려시대의 구결자료. 원래 이 불상은 1346년에 조성된 것으로, 이 구결은 그 이전에 쓰여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구결이 쓰여진 ≪구역인왕경≫은 상하 2권이나 상권의 2·3·11·14·15장의 5매만이 발견되었다. 이 불경은 목판본으로 그 자체(字體)는 고려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