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와운집 / 臥雲集 [종교·철학/유학]
송형의 문집. 목판본, 서 :김도화(1907), 발: 김형모. 2권 1책. 1907년 이후에 후손 송재호가 발간한 것으로 보인다. 문집 권 1에는 시 71수와 편지글 20편이 실려 있다. 권 2에는 편지글 22편이 실려 있는데 1권에 실린 편지가 스승과 어른들에게 보낸
와유록 / 臥遊錄 [문학/한문학]
고려시대부터 18세기 무렵까지의 산수유기(山水遊記)를 모아 엮은 견문록. 7권 7책. 필사본. 편자·연대는 미상이다.『와유록』은 조선 중기 이후 문인들의 산수유람 욕구가 매우 강해짐에 따라 산수유람의 기록을 모아 유람의 안내서 구실을 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직접 산
완구유집 / 宛丘遺集 [언론·출판]
저자 신대우(1735-1809). 목판본. 10권 2책. 이 책은 일반 문집과는 달리 시는 없고 문만 수록되었다. 따로 서문과 발문이 없고, 권두에 총목이 있다. 2책을 문체별로 분류하여 10권으로 나눈 것도 이례적일 뿐만 아니라, 권1을 잡저로 시작하는 것도 매우 특
완암집 / 浣巖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정내교의 시·기·전·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필사본. 1765년(영조 41) 홍자순(洪子順)이 편집하여 홍봉한(洪鳳漢)의 주선으로 전라감영에서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이의숙(李宜叔)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홍봉한의 발문이 있다. 권1∼
완왕궁춘추분제진설도 / 完王宮春秋分祭陳設圖 [정치·법제]
고종의 장남 이선(李墡)의 사당인 완왕궁에서 춘분, 추분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완화군은 귀인이씨의 아들로 1907년 완친왕(完親王)으로 추봉되었다.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된 문서임은 확실하
완왕궁춘추분제홀기 / 完王宮春秋分祭笏記 [정치·법제]
완왕궁(完王宮)에서 춘분, 추분에 지내는 제사의 진행 순서를 적은 홀기. 완왕궁은 고종의 장남 이선(李墡)의 사당이다.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하였다.
완왕묘기신청명제홀기 / 完王墓忌辰淸明祭笏記 [정치·법제]
완왕묘(完王墓)에서 기신제와 청명제를 설행할 때 사용된 홀기.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하였다.
완이만록 / 莞爾漫錄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이장여(李長汝) 저, 영인본, 성신여자대학교, 1981, 9권 4책. 완이 이장년가 지은 시, 서 등의 자필 원고를 증손녀 이숙종(李淑鍾)이 영인한 책이다. 원고의 권수제는 만록(漫錄)이며, 제6권이 결실되었다.
왕랑반혼전 / 王郞返魂傳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소설류(小說類) 저자미상, 목판본, 경북대학교대학원 국문학과연구실, 1954, 불분권 1책(9장). 윤회사상을 담은 불교소설이다. 이 책은 해인사장판을 경북대학원 국문학과연구실에서《國語國文學硏究資料 第2輯 2》로 간행한 책이다.
왕세손(의소세손)시호망단 / 王世孫(懿昭世孫)諡號望單 [정치·법제]
영조의 왕세손 의소세손의 시호를 의정하기 위해 1752년(영조 28) 3월 빈청에서 국왕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세손시호 망단. 이 망단은 의소세손의 시호로서 '의소(懿昭), 충헌(沖獻) 의회(懿懷)'의 세 가지를 써서 삼망을 갖춘 것인데 이에 대해 영조는 첫 번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