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구암문집 / 懼菴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신입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78년 6대손인 근수(根洙)·안수(安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현우(柳賢佑)의 서문과 권말에 안수·정동락(鄭東洛)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

  • 구암문집 / 究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광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6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2책. 석인본. 1966년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고, 권말에 후손 종기(宗基)의 발문이 있다. 벽진이씨 부산화수회에 있다.권1에 시 16수, 권2에 서(書) 88편,

  • 구암문집 / 龜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경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42년 12세손인 동건(東建)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과 장윤상(張允相)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준규(俊奎)·상해(商海)·동건의 발문이 있다. 국립

  • 구암별집잡저 / 苟菴別集雜著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신응조의 「사유」·「민업」으로 구성된 문집. 1권 1책. 필사본. 표제는 ‘구암유속문(苟菴諭俗文)’이라 되어 있고, 겉표지 뒷면에 저자의 생애를 간단히 기록하였다. 이 책은 「사유 士諭」·「민업 民業」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사유」는 강원도관

  • 구암서원 / 龜巖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서원. 1675년(숙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서침(徐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연구산(連龜山) 기슭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8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고 서거정(徐居正)을 추가배향하였으며, 1741년에 서성(徐渻),

  • 구암서원 / 龜巖書院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굴바위마을에 있었던 서원. 1667년(현종 8)에 광주(廣州)지방 유림의 공의로 이집(李集)·이양중(李養中)·정성근(鄭誠謹)·정엽(鄭曄)·오윤겸(吳允謙)·임숙영(任叔英)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원우를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169

  • 구암실기 / 舊庵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후겸의 유고와 행장·묘갈명 등을 수록하여 1925년에 간행한 실기. 2권 1책. 목활자본. 1925년에 8세손 중우(重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중구(中久)·종현(鍾炫)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만시(輓詩

  • 구암유고 / 久庵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한백겸의 설·서(序)·기·소 등을 수록한 문집. 2권 1책. 목판본. 1640년(인조 18)에 그의 아들 흥일(興一)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식(李植)의 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상에 설 5편, 도설(圖說) 2편, 서(序) 3

  • 구암유고 / 懼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노광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19년 손자 일현(日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하겸진(河謙鎭)의 서문과 권말에 족손 보현(普鉉)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

  • 구암유고 / 龜巖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이정의 서(書)·잡저·제문·문인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상·하 2권 1책. 목활자본. 증손인 석진(錫進)이 편집하고, 후손 학연(鶴淵)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달수(宋達洙)·기정진(奇正鎭) 등의 서문과 권말에는 석진의 후서(後敍)와 학연의 발문이 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