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강양세고 / 江陽世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여림·이구·이영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1925년 후손 정추(鼎樞)가 편집하고, 정동범(鄭東範)과 정동철(鄭東轍)이 교정,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동철의 서문과 권말에 정추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 강양죽지사 / 江陽竹枝詞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규수(朴珪壽)가 지은 악부시. 서문에서는 합천의 내력을 간단히 설명하고, 본문에서는 역사·풍속·인물에 대한 주요 사항들을 칠언절구로 읊었다. 가실왕(嘉實王) 때 만든 가야금의 유래, 학사루(學士樓)와 최치원(崔致遠)의 문장, 조식(曺植)이나 이여송(李如松

  • 강엄 / 康儼 [종교·철학/유학]

    1766년(영조 42)∼1833년(순조 33). 조선 후기 성리학자. 강인석의 후손으로, 부친은 강윤조, 동생은 강검이다. 손재 남한조·입재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며, 제자백가의 서적 및 경전을 두루 익혔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생원 3등 24위로 합격하였으

  • 강연설화 / 講筵說話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시강원에서 제23대 왕 순조의 경연에서 강의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22책. 필사본. 연설(筵說)내용을 기술하기 전에 경연의 날짜·장소, 강의대상서적, 입시 신하 등을 기재하였다.경연장소는 성정각(誠正閣)·희정당熙政政堂)·흥정당(興政堂)·함인정(涵仁亭) 등인

  • 강와집 / 剛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임필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4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1834년(순조 34)에 그의 아들 이보(伊輔)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1782년(정조 2)으로 된 이광정(李光靖)의 서문이 있는데 이는 간행에 앞서 미리 받은 것이다.

  • 강완숙 / 姜完淑 [종교·철학/천주교]

    1760년(영조 36)∼1801년(순조 1). 초기 천주교회의 순교자. 최초의 여성회장. 천주교가 충청도 지방까지 전해지자 교리를 배우기 시작하였고, 서울에 올라온 뒤 교우들과 접촉하면서 전교에 힘쓰며, 신부 주문모를 영입하는 데 큰 소임을 하였다. 주문모가 1794

  • 강외금보 / 江外琴譜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우조초편」·「우조제이편」·「우조제삼편」 등을 수록한 악보.거문고악보. 충청북도 청주시 강외초등학교 박물관 전시유물의 수집과정에서 한 학생이 기증한 것으로 현재 이 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지(韓紙)에 모필(毛筆)로 필사된 1책 15장으로

  • 강우성 / 康遇聖 [언어/언어/문자]

    1581년(선조 14)∼? 조선 중기의 역관.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주교수(籌敎授)였던 유경(有慶)이다. 자세한 생애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단편적인 기록이 남아 있다. 그는 일본의 풍속을 잘 알고 있었으며 언어에도 능통하여, 1609년(광해군 1)에는 역과(

  • 강운 / 姜橒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2∼1834). 중길의 증손, 할아버지는 일신,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색○이며, 어머니는 홍빈의 딸이다. 1807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자·전적·지평·이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근사록집해》와《주서차의》수십 권을 남겼고, 칠서에 대한 훈고

  • 강원도내열읍재실분등장계 / 江原道內列邑災實分等狀啓 [정치·법제]

    강원도관찰사가 국왕에게 올린 강원도내 열읍의 재실을 분등한 장계. 분등한 내용은 ①이천 회양 안협 등 3개 고을을 우심읍에, ② 금성 정선 통천 흡곡 등 9개 고을을 지차읍에, ③원주 영월 평창 홍천 등 14개 고을을 초실읍에 두었다. 그리고 도내의 부족재 54결에 대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