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 어제경세문답속록언해 / 御製警世問答續錄諺解 [언어/언어/문자]

    1763년(영조 39) 『어제경세문답속록』을 언해한 책. 1책. 필사본. 어제경세문답언해』의 속록이지만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을 내용으로 한 『어제경세문답언해』와는 그 내용이 매우 대조적이다. 어두 된소리의 표기에는 ‘의(5b), 러지고져(2a)’와

  • 어제경세문답언해 / 御製警世問答諺解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에 한문본 『어제경세문답』을 언해한 책. 1책. 필사본. 영조가 70세를 1년 앞두고 자성(自省)의 뜻으로 세상을 일깨우기 위하여 자술하여 간행하였다. 원본으로서 모두 한글로만 되어 있다. 필사기나 서(序)·발문(跋文)이 없으나 『어제경세문답』이 간행된 176

  • 어제상훈언해 / 御製常訓諺解 [언어/언어/문자]

    1745년(영조 21) 영조가 세자와 후세 임금들에게 내린 교훈서. 현재 전하고 있는 『어제상훈』(목판본, 22장)을 언해하여 간행한 것이다. 체재는 한문으로 된 본문과 그것을 언해한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한문 본문에는 토를 달고 본문이나 언해한 부분의 한자에는 모두

  • 어제속자성편언해 / 御製續自省篇諺解 [언어/언어/문자]

    1759년(영조 35) 영조(英祖)가 후손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지은 한문본 교훈서인 『어제속자성편(御製續自省編)』을 언해한 책. 2편 1책 필사본. 이 책은 한문본 『어제속자성편(御製續自省編)』을 언해한 것이다. 한문본 『어제속자성편(御製續自省編)』은 영조(英祖)가

  • 어제자성편언해 / 御製自省篇諺解 [언어/언어/문자]

    『어제자성편』을 언해한 책. 2권 2책. 필사본. 첫머리에 영조가 짓고 이철보(李喆輔)가 쓴 서문이 있다. <내편 內篇>에는 106장에 걸쳐 경전 및 제사(諸史)에서 뽑은 항목을 싣고, 영조가 몸소 체험한 바 느낌을 서술하였다. <외편 外篇>에는 먼저 선과 악의 분기점

  • 어제조훈언해 / 御製祖訓諺解 [언어/언어/문자]

    ≪어제조훈≫을 언해한 책. 1책. 필사본. ≪어제조훈≫은 조선 후기 영조가 세손인 정조에게 준 10가지 조목의 훈사(訓辭)를 간행한 책이다. 본문 서두에는 선왕들의 위업이 매우 힘든 것인데 나이 71세가 된 나(영조)와 나이 어린 너(정조)밖에 없어, 종사의 일이 걱

  • 어제훈서언해 / 御製訓書諺解 [언어/언어/문자]

    1756년(영조 32)에 영조가 써서 간행한 교훈서. 1권 1책. 이 책은 원래 한문으로 된 『어제훈서』(1756)를 언해한 것으로 생각되는 바 현전하는 한문본은 목판본으로서 권말에 서명응(徐命應)의 발문이 있다. 이 언해본의 내용은 성도교(性道敎)에 대한 설명과 훈

  • 어휘 / 語彙 [언어/언어/문자]

    특정한 언어체계가 가지는 어휘항목(語彙項目) 또는 어휘소(語彙素)의 총체. 여기서 말하는 ‘특정한 언어체계’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① 한국어·영어 등 특정한 개별언어, ② 충청도방언·경기도방언 등 특정지역의 언어(지역방언), ③ 여러 사회계층의 언어, 각 전문

  • 어휘론 / 語彙論 [언어/언어/문자]

    일정한 범위에 사용하는 단어들을 특정한 관점에서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첫째는 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단어들을 조사·수집하기도 하고, 또 문헌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단어들을 수집하는 일이며, 둘째는 국어의 현상을 여러 각도에서 해석하고 이

  • 억양 / 抑揚 [언어/언어/문자]

    말에 얹혀 나타나는 소리의 높낮이. 억양은 이상에서처럼 문장의 의미결정에 관여하거나 자연스러운 문장을 만드는 일에 기여하는 변별적이고 상대적인 소리이다. 화가 났을 때라든가 비명을 지를 때 소리를 더 높여 말하는 따위는 억양의 범주에 들지 않는다. 소리를 크게 지른다고

페이지 / 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