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최산두 / 崔山斗 [종교·철학/유학]
1483(성종 14)∼1536(중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한영, 어머니는 한경회의 딸이다. 김종직·김굉필을 사숙하였다. 18세에 상경하여 조광조·김정·김안국 등과 교유하니 당시 사람들이 ‘낙중군자’라 하였다. 1513년(중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최상익 / 崔商翼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확 증손, 할아버지는 몽열, 아버지는 순이다.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 장령, 배천군수,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최서경 / 崔曙卿 [역사/근대사]
1902-1955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최서경(崔曙敬)이다. 본적은 평안북도 운산(雲山)이다. 중국 상해(上海)로 이주하여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산하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에 가담하였다. 이 모임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정책과 노선을 지지하였으며
최서해 / 崔曙海 [문학/현대문학]
1901-1932년. 소설가. 본명은 학송(鶴松), 아호는 서해(曙海)·설봉(雪峰) 또는 풍년(豊年). 함경북도 성진에서 소작농의 외아들로 출생하였다. 1910년 아버지가 간도 지방으로 떠나자 어머니의 손에서 유년시절과 소년시절을 보내었다. 유년시절 한문을 배우고 성
최석봉 / 崔石奉 [역사/근대사]
1880-195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북도 순창군(淳昌郡) 동계면(東溪面)이다. 1909년 4월 의병장 김동구(金東九) 의진(義陳)에 참가하여 박치근(朴致根)·한자선(韓子先)·박화숙(朴化淑) 등 동지 11명과 함께 순창·임실(任實)·남원(南原) 일대
최석정 / 崔錫鼎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기남 증손, 할아버지는 명길, 아버지는 후량이다.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응교 후상에게 입양되었다. 남구만·이경억의 문인, 박세채와 교유하였다. 1671년 정시문과 병과로 급제, 이조판서, 우의정
최석준 / 崔錫濬 [역사/근대사]
1891-1922. 독립운동가. 일명 석준(錫俊)·석유(錫濡). 평안북도 삭주 출신. 1919년 3·1운동 당시 상경하여 평안북도 삭주군과 창성군의 거사를 종용받고 이 일대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수배를 받자 만주로 건너가 관전현(寬甸縣)을 근거지로 삼고 동지들을
최석항 / 崔錫恒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최기남 증손, 할아버지는 최명길, 아버지는 최후량,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최후원에게 입양되었다. 최석정의 아우이다. 16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경상도관찰사,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임
최석호 / 崔碩鎬 [역사/근대사]
1893-1970. 독립운동가. 일명 문석(文錫, 文碩)·문일(文一). 경상남도 합천 출신. 1916년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 간부양성기관인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에서 군사훈련을 수료하였다. 1919년 3·1운동과 보조를 맞추어 간도 용정(龍井)에서 만세시위를 주도
최성모 / 崔聖模 [역사/근대사]
1873-1936.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서울 협성신학교를 졸업하고 북감리교 목사가 되어 해주 남본정(南本町)교회에서 교역생활을 하였다.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는 등 민중교화사업과 전도사업을 통하여 계속적인 독립운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