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구성신시동석관묘 / 龜城新市洞石棺墓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구성군 사기면 신시동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돌널무덤. 정식으로 학술적인 발굴조사를 거친 것이 아니어서 유적의 성격은 정확히 파악되어 있지 않다. 다만 판석(板石)을 사용하여 축조한 단순형 돌널무덤이며, 그 내부에서 부장품으로 세형동검 1점과 흑요석ㆍ구옥

  • 구성읍도 / 龜城邑圖 [지리/인문지리]

    우리나라 서북방의 요새지인 구성진 일대를 그린 지도.고지도. 채색그림지도. 가로 76㎝, 세로 104㎝. 우리나라 서북방의 요새지인 구성진의 지도로, 병자호란 이후 국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북서부의 요지에 대한 군비강화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규장각 도서에 있

  • 구성읍성남문 / 龜城邑城南門 [예술·체육/건축]

    북한 평안북도 구성시에 있는 고려전기 구성읍성 남쪽의 문(門).성문. 북한문화재. 구주읍성 남문은 화강석으로 쌓은 축대의 가운데에 무지개형 문길을 내고, 축대 위에 정면 3칸(10.7m), 측면 3칸(10m)의 방형평면에 다포식 공포를 결구한 겹처마 팔작지붕의 2층 문

  • 구성향교 / 龜城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구성군(현재의 구성시) 구성면 좌부동에 있는 향교. 고려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서재·교관실(敎官室)·제기고(祭器庫)

  • 구세공보 / 救世公報 [종교·철학/개신교]

    1909년 국내외의 구세군 사업과 교계의 중요한 사건을 보도하기 위해 발간한 회보.개신교서. 1909년 7월 1일 창간된 구세군 기관지로, 처음에는『구세신문(救世新聞)』이라는 제호로 간행되었다가 1949년 5월 1일부터『구세공보(救世公報)』로 이름을 바꾸었다. 『구세공

  • 구세신문 / 救世新聞 [종교·철학/개신교]

    한국 구세군의 기관지로 1909년에 창간한 신문.구세군기관지. 1909년 발행된 『구세신문』은 한국 구세군의 기관지이다. 구세군 만국본영인 영국에서 1879년 12월 27일 『The War Cry』라는 제호로 구세군 신문을 처음 발간한 이래 세계 각 나라의 구세군에서도

  • 구세주 / 救世主 [종교·철학]

    혼란한 이 세상에서 인간들을 구원하게 될 신적 존재. 우리나라의 민족종교계통에서 구세주 개념은 인간을 재앙과 고통으로부터 구원할 뿐 아니라 모든 무질서와 혼돈을 본래의 질서정연한 모습으로 되돌려 놓는 초월적인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가 바로 인류를

  • 구소수간초선 / 歐蘇手柬抄選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31.1×20.7cm이다. 구양수(歐陽脩)와 소식(蘇軾)의 공저(共著)로, 上下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구소집 / 鳩巢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성구의 시· 장·서(書)·고유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방후손 택수(宅銖)가 편집하고 아들 제열(濟說)과 사우(士友)들이 간행하였으나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가 있고, 권말에 김흥락(金興洛)의 발이 있다.

  • 구수략 / 九數略 [과학/과학기술]

    조선후기 문신 최석정이 수학의 형이상학적인 역학사상에 의거하여 수론을 전개한 수학서. 4권 2책. 목판본.갑·을·병·정(부록)의 4편으로 엮어졌다. 갑편은 주로 가감승제(加減乘除)의 4칙에 관한 기본적인 설명, 을편은 이들 기본연산(基本演算)을 다룬 응용문제, 병편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