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예문 / 禮文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문류(禮文類) 편자미상, 필사본, 불분권 1책(35장). 표제는 잡시초(雜詩抄)라고 되어 있다. 구성은 혼례초(婚禮抄), 상례초(喪禮抄), 가정류(家庭類), 잡서초(雜書抄)로 이루어진 유서이다.
예선희궁일록 / 詣宣禧宮日錄 [역사/조선시대사]
정조가 1795년(정조 19) 7월 18일에 선희궁(宣禧宮)에 거둥한 일을 간략히 기록한 글. 말소와 수정의 흔적들이 남아 있는 초고(草藁)이다. 말소된 부분들을 제외하면 정조의 ≪일성록(日省錄)≫의 같은 날 기록과 일치한다. 정조가 쓴 ≪일성록≫ 초고의 일부로 판단된
예수 [언론·출판/언론·방송]
평양 예수교회 중앙선도원이 1934년 1월 13일에 국한문을 섞어 2-3단으로 내리 편집하여 매월 발행한 조선예수교회의 기관지. 내용으로는 무제, 명상록, 참회록, 성경연구, 기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수셩교젼셔 / 耶蘇聖敎全書 [종교·철학/개신교]
1887년 발행된 최초의 한글판 신약전서. 1878년 스코틀랜드 연합교회의 목사이자 중국선교사이던 로스는 이응찬, 김진기, 백홍준과 함께 성서번역을 완료하였다. 로스가 참고한 성서는 <한문성서> <헬라어성성>
예의문답 / 禮疑問答 [종교·철학/유학]
예류(禮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3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30.0×20.2cm, 반곽은 21.0×15.2cm이다. 표제는 예의문답류편(禮疑問答類編), 판심제는 예의문답(禮疑問答)이다. 곽종석(郭鍾錫)이 저술하였고, 서문(序文)은
예종창화집 / 睿宗唱和集 [문학/한문학]
고려 제16대 왕 예종이 문신 곽여(郭輿, 1058~1130) 등과 창화(唱和)한 시문집(詩文集). 『예종창화집((睿宗唱和集)』에 관한 기록은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예종창화집발미(睿宗唱和集跋尾)」(『동국이상국집』 권21), 『용재총화』 권8과 『해동문
오대진언 / 五大眞言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학조(學祖) 찬, 불공(不空) 역, 목판본, 1954, 불분권 1책(110장). 관세음보살여의주수진언(觀世音菩薩如意珠手眞言) 등 불교의 진언을 범자(梵字)로 쓰고 그 옆에 범어를 음역한 한자와 한글로 쓴 책이다. 해인사장판을 경북대학원에
오룡재록 / 五龍齋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남명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1799년(정조 23)에 아들 양룡(陽龍)이 편찬, 간행하였다. 이병모(李秉模)·황승원(黃昇源)의 서문이 있다. 이 책은 권1·2는 「몽은록 蒙恩錄」, 권3은 「여우록 廬
오륜전비언해 / 伍倫全備諺解 [언어/언어/문자]
1721년(경종 1) 사역원(司譯院)에서 간행한 중국어학습서. ‘서문·범례·인용서목(引用書目)·본문’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자음의 표기법이 『사성통해(四聲通解)』의 것을 따랐으면서도 시대적인 변천에 따라 수정되었고, 각 한자마다 오른쪽에 지역성과 시대성을 띤 현실
오륜행실도 / 五倫行實圖 [언론·출판/출판]
1797년(정조 21)에 이병모(李秉模) 등이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여 수정, 편찬한 책. 5권 4책. 정리자(整理字)로 간행되었다. 책 앞부분에 정조의 어제윤음(御製綸音)과 당시 좌승지 이만수(李晩秀)의 서(序)가 실려 있다. 당초에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