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삽교만록 / 霅橋漫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안석경(安錫儆)의 문집. 6권 5책. 필사본. 그 대략의 내용은 ① 시국에 관한 견해, ② 사물에 대한 느낌, ③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평, ④ 어떤 인물의 행적, ⑤ 일상적인 대화, ⑥ 학문적인 견해, ⑦ 기행한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삽교만록』은
상납전곡작전사논보 / 上納錢穀作錢事論報 [정치·법제]
미상의 하급 관아에서 미상의 상급 관아에 올린 백성들로부터 체납된 세금 및 환자곡의 수납 곤란을 호소하면서 그 변통을 요구한 논보. 그 변통방안으로 돈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과 환자곡을 곡식으로 납부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논보'는 하급관아에서 상급관아에 대해
상덕총록 / 相德總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정씨 부인(丁氏夫人)이 지은 채제공(蔡濟恭)의 전기. 한글 필사본. 현전하는 권2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영조 때의 문신 김상철(金尙喆)의 아들 김우진(金宇鎭)이 홍국영(洪國榮)의 역모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었는데, 1791년김상철이 죽자 그를 풀
상례고증 / 喪禮考證 [사회/가족]
조선시대 문신 유성룡이 상례에 관하여 저술한 예서. 주자(朱子)의 『가례(家禮)』에서 상례를 『예기』와 결부시켜 상제(喪制) 3편과 상제에 따른 상복을 도식화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주자의 『가례』가 중심이 되고 『예기』와 『의례』가 참고되었기 때문에 뛰어나게
상례비요 / 喪禮備要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신의경이 찬술한 상례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2권 1책. 목판본. 이 책은『가례』의 상례관계의 본문을 중심으로, 『예경』과 여러 학자들의 이에 관한 해석을 참고, 유취하여 초상에서 장제에 이르는 모든 예절을 요령 있게 찬술하였다. 그리고 사당·신주·
상례비요보 / 喪禮備要補 [사회/가족]
조선후기 학자 박건중의 『상례비요』를 증보하여 저술한 예서. 12권 8책. 사본. 1806년(순조 6)에 완성되었다. 『비요보해(備要補解)』라고도 하며, 13권 8책본이 있기도 하다. 박건중은 송환기(宋煥箕)·김정묵(金正默) 등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정통을 이어오던 학
상례언해 / 喪禮諺解 [언어/언어/문자]
종실(宗室)인 덕신정(德信正) 이난수(李鸞壽)가 김장생(金長生)이 편찬한 『가례(家禮)』 중에서 상례(喪禮)의 초종지례(初終之禮)를 집록(輯錄)하고 언해한 책. 2권 1책. 필사본. 서문에는 ‘천계삼년계해시월일 사계노부 서(天啓三年癸亥十月日沙溪老夫書)’란 기록이 있고,
상례편람 / 喪禮便覽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주가 편찬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 2권 1책. 필사본. 김정주의 서문에 의하면 1829년(순조 29)에 착수하여 1831년에 완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본은 1869년(고종 6)에 필사한 것이다. 제1권에 초종·성복·오복·상상·강복·조·분
상무사장정 / 商務社章程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산업류(産業類) 상무사(商務社) 편, 신연활자본(全史字), 1899년(광무 3) 불분권 1책(17장). 1899년에 설치된 상무사의 부칙을 적은 책이다. 이 책은 용인좌지사(龍仁左知事)에 배포한 것으로 보인다. 한글 현토본이다.
상무사장정부칙 / 商務社章程附則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산업류(産業類) 상무사(商務社) 편, 신연활자본(全史字), 1899년(광무 3) 불분권 1책(5장). 1899년에 설치된 상무사의 부칙을 적은 책이다. 이 책은 양지좌지사(陽智左知事)에 배포한 것으로 보인다. 한글 현토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