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최명상 / 崔命相 [종교·철학/유학]

    1676년(숙종 2)∼1736년(영조 1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최순, 조부는 최상익이다. 부친 최중태, 모친 심약명의 딸이다. 처부는 심정구이다. 1722년(경종 2)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 가주서·정언·사서, 1723년(경종 3) 지평, 1729년(영조

  • 최명석 / 崔命錫 [역사/근대사]

    1913-1968.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사천군(泗川郡) 삼천포면(三千浦面)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경상남도 부산(釜山) 범일동(凡一洞)이다. 1933년 1월 2일 부산에서 교사 생활을 하던 중, 동료 교사 김두영(金斗榮) 등과 함께 남산동(南

  • 최명식 / 崔明植 [역사/근대사]

    1880-1961.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긍허(兢虛). 청년들을 계몽시키기 위해 면학회를 조직하고 산업 증진과 교육의 장려 등 여러 가지 사업을 추진하였다. 신민회에 가입하였으며 상하이 임시정부, 한국독립당에서 꾸준히 정치활동을 펼쳤다.

  • 최명현 / 崔明鉉 [역사/근대사]

    1892-1944. 독립운동가. 황해도 해주 출신. 1919년 2월 해주군 해주읍 남본정(南本町) 예배당 목사 오현경(吳玄卿)이, 민족대표 33인 중 1인인 박희도(朴熙道)가 김명신(金明信)을 통하여 보낸 독립선언문 300매를 인수하고, 만세시위를 준비할 때 참여하였다

  • 최방언 / 崔邦彦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 12)∼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세영, 송시열의 문인이다. 학행으로 민정중·김수흥 등의 천거를 받아 현릉참봉이 되었다. 서인이 집권하면서 1701년 광릉참봉으로 다시 기용되고, 세자익위사의 시직·부수, 상의원첨정 등을 역임하고,

  • 최범술 / 崔凡述 [종교·철학/불교]

    1904년(광무 8)∼1979년. 승려‧독립운동가‧교육자‧다도인(茶道人)‧정치가. 초명은 영환(英煥), 당호는 금봉(錦峰), 법호는 효당(曉堂)이고, 경상남도 사천 출신이다. 1916년 사천 다솔사(多率寺)로 출가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선언서를 등사하여 배포

  • 최벽 / 崔璧 [종교·철학/유학]

    1762년(영조 38)∼1813년(순조 13). 조선 후기 문신. 증조부는 최하기, 조부는 최경담, 아버지는 최종섭이다. 외조부는 신도하, 처부는 이도지이다. 1783년(정조 7) 계묘 식년시 갑과 장원으로 급제한 그는 바로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었다. 이후 예조좌랑,

  • 최병규 / 崔丙圭 [역사/근대사]

    1881-1931. 독립운동가. 대구 출신.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대표적인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활약한 애국지사이다. 1915년에 결성된 대한광복회의 회원으로 군자금 수합에 힘을 쏟던 중, 1916년 광복회 총사령 박상진(朴尙鎭)의 계획하에 김진만(金鎭萬)의

  • 최병무 / 崔秉武 [역사/근대사]

    1918-194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남도 대동(大同)이다. 평안남도 평양(平壤) 숭실상업학교(崇實商業學校)에서 수학하였다. 1936년 재학 도중 일본인에 의한 조선인 차별 정책을 체험하고, 6월 13일 동지들과 함께 항일비밀결사단체인 일맥회(一麥會

  • 최병선 / 崔秉善 [역사/근대사]

    1886-1943년. 독립운동가. 일명 동선(東善)·병선(炳善). 평안북도 정주 출신. 1919년 3·1운동 때 고향 정주에서 만세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가 잡혀 8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1920년 1월 출옥과 동시에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공동조계에 거주하면서 영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