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구상 / 具常 [문학/현대문학]

    시인. 본적은 경북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789번지이나 서울 종로구 이화동에서 출생했다. 1923년 아버지의 교육사업을 위해 함경남도 문천군 덕원리(원산시 근교)로 이주를 했다. 1938년원산 덕원 성베네딕도 수도원 부설 신학교 중등과를 수료했고, 1941년일본대학 전

  • 구상나무 / Abies koreana WILS. [과학/식물]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한라산·지리산·무등산·덕유산의 높이 500∼2,000m 사이에서 자란다. 높이 18m, 수폭 7∼8m에 이르는 미려한 수형을 갖는 나무이다. 분비나무와 비슷하게 생겨서 분비나무로 오인되어 오다가 1920년 윌슨(Wil

  • 구상문학관 / 具常文學館 [문학/현대문학]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시인 구상(1919-2004)의 문학관. 세계 200대 문인 반열에 오른 구상 선생의 선양과 한국시문학에 끼친 업적을 보존하고, 시인이 20년간 거주하며 창작활동을 한 관수재를 복원하여 시인의 삶과 문학과 구도자적 정신세계를 영원히 이어가

  • 구생행문요출 / 求生行門要出 [종교·철학/불교]

    김산 직지사에서 염불 수행을 권장하기 위하여 1749년에 간행한 의례서.불교염불서. 1책. 목판본. 1749년(영조 25)에 경상도 김산 직지사(直指寺)에서 간행되었다. 『한국불교전서』 제11책에 수록되어 있다. 『구생행문요출(求生行門要出)』의 성립은 대단히 복잡하다.

  • 구서울구치소 / 舊서울拘置所 [역사/근대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는 서울구치소의 옛 자리. 사적 제324호. 1908년 7월 경성감옥으로 문을 연 이래, 1912년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 광복 후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 1961년 서울교도소, 1967년 서울구치소

  • 구서울대학교본관 / 舊서울大學校本館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있는 건물. 사적 제278호. 1924년 5월 경성제국대학관제에 따라 법문학부, 의학부 설치가 규정되고, 5월 예과가 개강됨으로써 1926년부터 일련의 학교시설을 갖춘 뒤 이 건물을 지었다. 박길룡이 설계하였는데, 우리나라 최초의 건축가가 설

  • 구서울역사 / 舊─驛舍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준공된 절충주의 양식의 건축물.역사. 사적. 사적 제284호. 지하 1층, 지상 2층의 돌·벽돌 혼합 조적조(組績造) 건물이다. 1922년 6월에 짓기 시작하여 1925년 9월에 준공하였다. 설계는 일본인 츠카모토 야스시[塚本靖]가

  • 구석기시대 / 舊石器時代 [역사/선사시대사]

    인류가 처음으로 나타난 시기부터 약 1만년 전에 신석기시대가 시작되기 전까지 돌을 깨뜨려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기. 구석기시대 동안 고인류들은 채집과 사냥을 하고 살았으며 이동성생활을 하였던 시기이다. 인류사의 거의 99.8%가 구석기시대이다. 그런데, 인류는 약

  • 구선복 / 具善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86). 1718년(숙종 44) 무과에 급제하여, 1748년(영조 24) 황해도수군절도사에 취임했으며, 충청도병마절도사·병조판서·의금부판사 등을 역임하였다. 정조의 조카 상계군을 지지하였다는 이유로 1786년에 조카 구명겸과 함께 처벌되었다

  • 구선집 / 求善集 [문학/한문학]

    고려 전기 장군 강감찬(姜邯贊, 948~1031)의 문집. 『구선집(求善集)』에 대한 기사는 『고려사』 권94 「강감찬열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강감찬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성남(城南)의 별장에서 지내면서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