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구사학규 / 九社學規 [종교·철학/유학]

    선유의 어록이나 언행록에서 인용한 수양서.학규. 1책. 사본. 저자 미상. 정약용(丁若鏞) 또는 이상수(李象秀)의 찬설(撰說)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구사(九社)라는 말은 일종의 강학처(講學處)를 이르는 명칭인 것으로 보인다. 구사에서는 매월 삭

  • 구산 / 龜山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 지역의 옛 지명. 조선시대에는 칠원현(漆原縣)의 속현으로 그 남쪽에 있었다. 원래 성법부곡(省法部曲)이었는데, 고려 때 현으로 승격하여 구산현이라 칭하였다. 처음에는 웅신현(熊神縣)에 속하였다가 뒤에 금주(金州)에 예속되었다. 공양왕 때 칠원에 속

  • 구산서원 / 龜山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부황리에 있었던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윤전(尹烇)·윤순거(尹舜擧)·윤원거(尹元擧)·윤문거(尹文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

  • 구산서원 / 龜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하구리에 있는 서원. 1786년(정조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서유(徐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구산서사(龜山書社)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39년(헌종 5)에 ‘구산’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1848년에 서인원

  • 구산서원 / 龜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남산리에 있었던 서원. 1704년(숙종 3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순(宋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구산사(龜山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0년에 송정순(宋庭筍)과 김언욱(金彦勗)을 추가 배향하였으며, 1713년에 송희경(宋希璟

  • 구산성지 / 龜山城址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석축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경상남도 기념물 제73호. 이 성터는 구산(龜山, 해발 116m)의 8부 능선에 자연암반의 정상 주위를 중심으로 진해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도록 약간 서쪽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비스듬히

  • 구산집 / 九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영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24년 아들 진보(鎭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문과 권말에 진보의 후서(後敍)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38수, 서(書) 33

  • 구산집 / 龜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재령의 시·서(書)·제문·잠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10년 대섭(大燮)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으며, 권명한(權明翰)의 서가 있고, 발은 없다.권1은 시 100수, 권2는 소 1편, 서(書) 41편, 권3은 제문 22편, 축

  • 구산해수욕장 / 邱山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와 기성면 구산리에 걸쳐 있는 해수욕장. 평해읍에서 북동쪽으로 4㎞ 거리에 있으며, 7번 국도가 인접해 있어 교통편이 용이하다. 해수욕장의 뒤의 송림이 넓고 울창하며, 백사장의 길이는 500m로 규사성분의 모래질이 좋다, 물이 깨끗하고 맑으

  • 구삼국사 / 舊三國史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전기 에 편찬된 삼국시대에 관한 역사서. 현전하지 않는다. 원래 명칭은 ‘삼국사(三國史)’였다고 생각된다. 『동국이상국집』에는 ‘구삼국사’로 되어 있는데, 이는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가 나온 후에 ‘구(舊)’자를 덧붙인 듯하다.또,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