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구봉영당 / 九峰影堂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에 있는 조선후기 신숙주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신숙주(申叔舟)의 영당이다. 순종 때경기도 양주에서 이곳으로 옮겨 영당을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였으며, 고령신씨(高靈申氏) 종중의 소유로 해마다 봄·가을에 향사(享祀)하고 있다. 건물구조는 정면

  • 구봉유고 / 九峯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곽천구의 시·부·의·책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 1책. 석인본. 증손 성원(成遠)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성원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찬(璨)의 발문이 있다.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 있다.권1은 시·부·의(義)·책(策)·제문·전(箋)·계(啓)

  • 구봉유집 / 九峯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6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896년 7세손인 태승(台承)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태승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92수, 권2에 가장 1편, 서(序)

  • 구봉유집 / 龜峯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권덕린의 시·서(書)·책·잡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후손 치복(致福)과 해상(海祥) 등이 간행하였다. 간행연도는 알 수 없다. 권두에 목만중(睦萬中)과 이휘령(李彙寧)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종상(李鍾祥)의 후서(後敍)가 있다. 규

  • 구봉일고 / 龜峯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서일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37년 주손(胄孫) 문수(文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서규석(徐奎錫)·이훤구(李烜久)의 서문과 권말에 그의 10세손 정수(禎洙)·문수의 후지(後識)가 있다. 성균

  • 구봉집 / 九峯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조원기(趙遠期, 1630~1680)의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간기가 없어 간행의 경위는 미상이다. 권1∼3에 시 261수, 권4에 소 4편, 권5에 서 1편, 잡저 5편, 권6에 서 2편, 제문 3편, 부록에는 묘지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구불의체 / 九不宜體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가 말한 한시 작법에서의 아홉 가지 좋지 않은 문체. 용사(用事)·성률(聲律)·수사(修辭)등에 대해 논한 것으로 시작법에 있어서 피해야 할 구체적인 예를 제시한 것이다. 구불의체를 통해서 보면 설의와 시어를 다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구비문학 / 口碑文學 [문학/구비문학]

    말로 된 문학. 글로 정착된 기록 문학과 함께 언어 예술인 문학의 한 종류. 구비 문학은 말로 전해지는 문학이라는 의미에서 구전 문학(口傳文學)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구비 문학이라는 용어를 택한 데에는 그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구비’라는 말의 어원은 비석에 새겨

  • 구사 / 丘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종친·공신·당상관 등에게 배당되어 이들을 모시고 다니는 하인무리. 당상관 이상의 배당자들은 아일(衙日)에 호상(의자의 일종)을 사용하여 그 호상을 들이고 내는 일을 감당하는 자들로 배정하였다. 서반 당상관은 호상을 쓰지 못하여 제외되었다.

  • 구사당집 / 九思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김낙행의 시문집. 본집 9권 5책, 속집 4권 2책, 합 13권 7책. 목판본. 종제인 김도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본집의 권1에 시 2백여 수, 권2∼6에 서 98편, 권7∼9에 잡저 15편, 서 2편, 기 3편, 지발 4편, 잠명 11편, 상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