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최효술 / 崔孝述 [종교·철학/유학]

    1786년(정조 10)∼1870년(고종 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식, 어머니는 정종로의 딸이다.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래부사 이휘령, 어사 박규수와 임응준 등이 번갈아 천거하여 1860년(철종 11) 장릉참봉에 임명, 돈령부도정, 부호군에 이르렀다

  • 최흥원 / 崔興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5∼1786).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이 된 후 세자익위사좌익찬에 이르렀다.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규약을 세우고 선공고·휼빈고 등을 두었다. 저서로는《백불암집》이 있다.

  • 최희량 / 崔希亮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51(효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최영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상중에 있었기 때문에 나아가 싸우지 못하였고, 1594년 무과에 급제한 다음, 당시 충청수사로 있던 장인 이계정을 돕도록 천거되어 선전관

  • 추담집 / 秋潭集 [종교·철학/유학]

    성만징의 문집. 8권 3책. 목활자본. 간행연대 미상. 권1은 시, 권2에서 권5까지는 100여명에 가까운 인물들에게 보냈던 간찰들이 수록, 권6은 기문과 제발, 권7은 잡저와 제문, 축문, 행장, 전, 잡기, 그리고 권8에는 부록으로 저자에 대한 묘표와 가장, 그리고

  • 춘고집 / 春皐集 [종교·철학/유학]

    송인의 문집. 석인본, 서:김동진(1950), 2권1책. 권1에는 시 92제와 서 1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제문 18편, 서 1편, 기 1편, 잠1편, 명 2편이 있으며,그 이하는 부록이다. 부록은 가장, 행장, 묘갈명, 만사, 제문 등이다.

  • 춘추좌전두임합주 / 春秋左傳杜林合註 [종교·철학/유학]

    춘추류(春秋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3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14.2×9.3cm, 반곽은 9.5×7.2cm이다. 판심제는 좌전(左傳)이다. 주(周)나라의 좌구명(左丘明)이 저술하였고, 진(晉)나라의 두예(杜預)가 주석(註釋)하였다. 권수는

  • 취사집 / 炊沙集 [종교·철학/유학]

    이여빈의 문집. 목판본, 서:정중원(1721), 이인행(1824), 유심춘(1831), 발:권두경(1704), 채헌징(1711), 김홍제(1724), 후지:이징도(1725), 채헌징(1712), 6권 3책. 권1·2에 부 2편, 시 78수, 표·책 각 1편, 소 4편,

  • 취은일고 / 醉隱逸稿 [종교·철학/유학]

    송덕부의 문집. 목판본, 2권 1책. 권상에는 60여 수의 시를 비롯하여 2편의 제문을 비롯하여 모두 7편의 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하는 부록으로 이재관이 지은 저자의 행장을 비롯하여 정종로가 지은 저자의 묘지명이 수록, 강용량 등 40여 명이 지은 만사와 강용량 등

  • 취지재집 / 吹篪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위경의 문집. 석판본, 서: 이만좌(1972). 김황(1973), 발:조성학(1973), 4권 2책. 조성학은 이만좌와 김황에게 부탁하여 서문을 짓고, 자신이 발문을 지었다. 권1은 시 82제 141수가 있고, 권2는 만사 18제 21수, 서 12편이 있다. 권3에는

  • 치암집 / 恥庵集 [종교·철학/유학]

    김석규의 문집. 목판본. 후지: 류필영(1908), 8권 4책. 권1에는 목록과 시 124제 219수를 실었고, 권2에는 시 118제 161수를 실었다. 권3의 「상척사소」가, 권4에는 46편의 서가 실려 있다. 권5 잡저, 권6에는 잡저‧서7편‧기2편‧ 설 2편, 권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