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구만서원 / 龜灣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에 있는 서원. 1596년(선조 2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금인(琴軔)·남몽오(南夢鰲)·박장생(朴長生)·권호신(權虎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
구맥요 / 求麥謠 [문학/고전시가]
1408년(태종 8)경에 항간에서 널리 불렸다는 참요(讖謠). 『태종실록』에 가창의 배경과 함께 권근(權近)의 한역시(漢譯詩)가 전한다. 이에 따르면, 4월 16일 명나라 흠차관(欽差官)주 01)으로 조선에 온 황엄(黃儼)이 전국에서 잘생긴 여자로 문무(文武) 군민(軍
구멍무늬토기 / 구멍무늬土器 [역사/선사시대사]
바리모양(鉢形) 토기의 아가리 아래쪽에 직경 5㎜ 이하의 구멍무늬를 일정한 간격으로 새긴 토기. 구멍무늬 토기는 기벽(器壁)의 관통 유무, 새김 방향에 따라 여러 가지 무늬로 나뉜다. 토기 안쪽면에서 도구를 밖으로 찔러 바깥면이 혹처럼 솟은 미관통이나 반관통된 것을 돌
구목포일본영사관 / 舊木浦日本領事館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대한제국기 일본이 일본영사관으로 건립한 건물.사적. 사적 제289호. 1897년 10월 목포항이 개항되고 1897년 10월 16일 대한제국과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러시아의 각국 사이에 체결된 ‘목포각국공동조계장정’에 따라 같은 해
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 龜尾洛山里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3층 석조 불탑.석탑. 보물. 보물 제469호. 높이 7.15m. 석탑은 구미 낙산리 고분군(사적 제336호)의 동남쪽에 있는 낙산1리 마을회관의 남쪽 논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주변에는 석탑을 제외하고 다른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 / 龜尾 農所里 銀杏─ [과학/식물]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농소리에 있는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225호. 높이 30m로서 밑에서 맹아(萌芽: 식물의 새로 트는 싹)가 많이 자랐기 때문에 둘레를 나타내기 어렵지만, 높이 3m 정도 되는 곳의 지름이 2.3m이다. 원줄기 3m 높이에서 3개의 커다란 가지가
구미 대둔사 대웅전 / 龜尾大芚寺大雄殿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대둔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1945호. 대둔사는 신라 눌지왕 때 창건한 절로, 고려 고종 18년(1231)에 몽고족의 침입으로 소실된 것을 충렬왕 때 왕자
구미 도리사 석탑 / 龜尾桃李寺石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桃李寺)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470호. 높이 3.3m. 석탑은 극락전 앞뜰에 자리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석탑과는 전혀 양식을 달리하는 매우 특이한 모습이다.단면이 네모난 석탑은 바닥돌 위에 받침돌을 놓고서 그 위에 탑
구미 독동리 반송 / 龜尾 禿洞里 盤松 [과학/식물]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357호. 농로가에서 홀로 자라고 있는 고립목(孤立木)으로 지상 40㎝ 높이에서 줄기가 남북 2개로 갈라져 있다. 남쪽줄기는 80㎝ 높이에서 다시 3개로 갈라졌는데 가지의 밑둘레가 각기 1.7m·1.6m·1.2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 龜尾竹杖里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서황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의 5층 석조 불탑.석탑. 국보. 높이 10m. 석탑은 원래의 위치에 원래의 모습으로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5층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선산읍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죽장사(竹杖寺) 터에 서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