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최수 / 崔琇 [종교·철학/유학]
?∼1424(세종 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 1392년(공양왕 4) 예조총랑이 되었으나 정몽주의 일당으로 몰려 직첩을 빼앗기고 곤장 70도를 맞은 뒤에 원지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이 개국되자 곧 풀려났다. 1413년 순금계획을 상서하여
최승우 / 崔昇羽 [종교·철학/유학]
1770년(영조 46)∼1841년(헌종 7).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최심의 후손, 고조는 최체건, 증조는 최두추, 조부는 최수인이다. 부친 최광익과 모친 이지빈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몽채의 딸이다. 숙부의 문하에서 수학, 과거 공부에 힘썼다. 1814년
최신 / 崔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송시열이 제2차 복상문제에서 남인에게 패하고 유배되자, 이에 반대하는 유필명의 소문이 올려졌는데 그 소문의 작성자로 지목되어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풀려나와 사옹
최양 / 崔瀁 [종교·철학/유학]
1351(충정왕 3)∼1424(세종 6). 고려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지, 어머니는 정운관의 딸이다. 외삼촌 정몽주에게 수학, 1376년(우왕 2)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상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1384년 예문관직제학에 재임할 때 이성계를 도와 서북면 정벌에 참여하였
최영 / 崔瑩 [종교·철학/유학]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최원직이다. 육도도순찰사, 판삼사사, 철원부원군,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팔도도통사 등을 역임하였다.
최영록 / 崔永祿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71년(고종 8). 조선 후기 성리학자. 최흥효의 후손, 고조는 최징조, 증조는 최기중, 조부는 최지해이다. 부친 최성한과 모친 손회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홍여하의 현손녀이다. 자기 수양과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황과 정구의
최유선 / 崔惟善 [종교·철학/유학]
984 ∼1075(문종 29). 고려 중기의 문신. 충의 아들이다. 1030년(현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7품으로 한림원에 들어갔다. 그 뒤 1047년(문종 1) 어사잡단을 거쳐 1052년 형부상서를 역임했다. 판상서예부사를 거쳐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이
최윤덕 / 崔潤德 [종교·철학/유학]
1376(우왕 2)∼1445(세종 27). 조선 전기의 무신. 아버지는 운해이다. 태어나면서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는 국경의 수비에 나가 있어 한마을에 사는 양수척에 의하여 양육되었다. 체찰사 이종무와 함께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평안도도절제사,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
최정호 / 崔挺豪 [종교·철학/유학]
1563년(명종 18)∼미상. 증조부는 최홍, 조부는 최대관, 부친은 최수도, 처부는 김복일이다. 1603년(선조 36) 계묘 식년시 병과 19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23년(광해 1)에 사간원정언에 제수되었는데, 사관은 어리석고 용렬하다고 평하였다. 이후 정인홍에
최진립 / 崔震立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무신. 득정 증손, 할아버지는 삼빙, 아버지는 신보, 어머니는 황사종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생 계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가덕참사, 경흥부사, 공조참판,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하였다.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