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 자연지리 1,23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자연지리
  • 대구분지 / 大邱盆地 [지리/자연지리]

    낙동강과 그 지류인 금호강·신천 유역인 대구 지역의 분지. 남쪽과 북쪽으로는 높이 300m 이상의 높은 산지로 둘러싸이고, 서쪽과 동쪽으로는 높이 150m 내외의 구릉지로 둘러싸인 평지이다. 대구분지처럼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역은 분지기후를 나타낸다. 이 기후의

  • 대금굴 / 大金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대이리에 위치한 석회동굴. 2003년 2월 25일에 발견되었다. 2006년 6월 20일에 대금굴이라 명명되어 천연기념물 제178호인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추가되었다. 길이는 주굴(主窟) 730m와 지굴(支窟) 880m를 합쳐 1,610m에 이른다

  • 대기오염 / 大氣汚染 [지리/자연지리]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해물질이 공기가 섞이는 환경오염. 인위적 혹은 자연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에 의해 인간에게 불쾌감 및 공중보건상의 위해를 끼쳐 쾌적한 생활과 재산을 지키고 누릴 권리를 위협하는 실내·외의 대기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공업

  • 대기점도 / 大奇點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93명(남 50명, 여 43명)이고, 세대수는 45세대이다. 마을은 섬의 북쪽과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북쪽의 병풍도와 남쪽의 소기점도는 제방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3㎢,

  • 대난지도 / 大蘭芝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2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29세대이다. 취락은 중앙부에 발달한 구릉의 동쪽 산록에 집촌을 이룬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25㎢, 밭 0.10㎢, 임야 3.10㎢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삼척시 하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307m로,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이다. 서쪽에 노목산(櫓木山, 1,150m), 남쪽에 금대산(金臺山, 1,096m)·함백산(咸白山, 1,573m), 동쪽에 육백산(六百山, 1,244m)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과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290m이다. 대덕산은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대부분 안산암(安山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정부에는 부분적으로 조면암질(粗面岩質) 암석이 나타난다. 화산암과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차별침식에 의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과 덕성면에 걸쳐 있는 산. 대덕산은 해발 1,461m로, 함경남도의 동북쪽 덕성군, 이원군, 북청군의 경계인 대덕산줄기의 주봉이다. 북청읍에서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동북쪽 계곡을 따라 광제사(廣濟寺)까지 오르고 등산로를 따라 약 3㎞ 오르면

  • 대도 / 大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8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60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중앙과 동쪽 해안에 주로 분포한다. 1690년에 장수이씨 부부가 처음 섬에 들어온 이후 장수이씨의 집성촌으로 잘 알려져 있다. 토지이용

  • 대동강 / 大同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북동부 낭림산맥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다가 남포특별시 부근에서 황해로 흘러드는 강. 길이는 438㎞이고, 유역면적은 1만 6673㎢이다.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긴 강이다. 좌안에 지류가 많은 비대칭적 하계로, 총 443개의 지류가 있으며 그중에서 길이

페이지 / 12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