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당시칠율분운 / 唐詩七律分韻 [언론·출판]

    강세황(1713-1791), 필사본. 이 책은 선장 2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칠율분운 목록과 본문, 표암의 장서인인 '광지'가 찍혀 있는 끝부분이다. 본문은 '동'자 운의 두심언의 <대포>와 장열의 <봉화춘일행망춘궁>을 시작으로, '염'자 운의 이백의 <유거>에

  • 당시화의 / 唐詩畵意 [언론·출판]

    저자 신위(1769-1847). 필사본. 이 책은 1책 65장이다. <당시화의>는 15권 5책으로 구성, 권두에 신위의 자서 2편과 서경보와 서기수의 서가 한 편씩 있어 모두 4편의 서문이 부기되어 있다. 다음으로 <예언십오칙>과 <화의총목>이 있어 이 책 속에 수록

  • 당악문헌 / 棠岳文獻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해남윤씨 귤정공파의 인물을 대상으로 행적과 기록을 집성한 인명록. 종가유물. 조선 후기 해남 윤씨(海南尹氏) 가문 중 귤정공파(橘亭公派) 인물을 대상으로 관련 행적과 기록을 집성한 문헌이다. 간행 시기는 19세기 중반 경으로 추정된다. 『당악문헌』에는 항목이

  • 당원 / 黨源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당쟁에 관한 내용을 서술한 역사서. 건(乾)·곤(坤) 2책. 필사본.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에서 1721년(경종 1)의 신임사화까지의 대요를 기술한 책이다. 책머리에 ‘당론원류지도(黨論源流之圖)’라 하여 당파를 도표로 표시하고, 분파명과 영수명(領袖

  • 당음 / 唐音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서당에서 익히던 한시 교재. 1권 1책. 목판본. 우리의 한문독음은 중국과 달라서 사성(四聲)이 구분되지 않는다. 그래서 표점을 찍어 평측을 따로 익혀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에는 ●표를, 평측에 통용되는

  • 당의 / 唐衣 [생활]

    조선시대에 여자들이 입었던 예복. 당의는 간이예복 또는 소례복으로 평복 위에 입었으며 궁중에서는 평상복으로 입었다. 조선 초기 명나라에서 전래된 단배자(短背子)가 배자저고리로 변하였다가 다시 숙종 이후 조선 말기의 당의와 같은 제도가 이루어진 것 같다. 당의에 영향을

  • 당쟁차탄가 / 黨爭嗟嘆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이덕일(李德一)이 지은 시조. 첫 번째 작품 제13장에서는 “힘써 하는 싸움 나라 위한 싸움인가/옷밥에 묻혀 있어 할일 없어 싸우누나.” 하여 당쟁을 먹고 입는 일이 보장되어 있으므로 할 일 없어 하는 싸움으로 규정하였다. 여섯 번째 작품 제18장에서는

  • 당저등극시연설 / 當苧登極時筵說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실기문학(實紀文學). 1권(20장). 한글궁체로 된 필사본. 헌종이 죽은 1849년(헌종 15) 6월 6일부터 철종이 즉위한 6월 9일 사이에 일어난 일을 기록한 것이다. 후기(後記)에 철종이 즉위하던 해의 8월 계동월방에서 친교로 마

  • 당주서원 / 溏注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공배리에 있었던 서원. 1581년(선조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노진(盧禛)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당주(溏洲)’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별사(別祠)에는 정희보(鄭希輔)를

  • 당주집 / 鐺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1권 7책. 연활자본. 1931년 6대손 치룡(致龍)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과 홍종헌(洪鍾獻)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치룡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페이지 / 1029 go